매일신문

"대구·경북, 새로운 수도권기업 유치전략 필요"

각종 법률에 따라 수도권 기업의 지방이전 대책이 추진되어 왔지만, 2000년 이후 대구의 기업유치 실적은 중후 장대형 산업입지를 가진 경남과 제주를 제외한 전국 광역지자체 중 최하위로 나타났고, 경북 역시 하위권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 대구·경북 공동의 새로운 기업유치 전략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구경북연구원 이석희 연구위원은 13일 건설교통부 내부자료를 활용해 2000년부터 2006년 6월까지 991개의 수도권 기업 지방이전 실태를 분석한 결과, ▷강원 377개 ▷전북 159개 ▷충남 153개 ▷대전 50개 ▷충북 68 ▷부산 60개 ▷광주 49개 순이었고, 대구는 9개로 ▷경남 4개 ▷제주 2개에 이어 가장 적은 숫자를 기록했다. 경북도 지난 6년 간 수도권에서 온 이전기업이 28개에 불과해 하위권에 머물렀다.

이 연구위원은 "국가균형발전특별법 등에 의해 추진되고 있는 수도권 기업의 지방이전이 강원권과 충청권에 집중됨에 따라 국가균형발전에 기여하기 보다 수도권의 광역화를 초래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위원은 "'수도권기업 지방이전 촉진협의체'를 구성해 기업유치촉진지구와 같은 특정거점 중심으로 유치대상 업종을 차별화 한 뒤 파격적인 인센티브 제공과 인프라 확충 지원체계를 마련하는 한편, 지방대학과 R&D(연구개발)·인적자원 특성화를 유인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갖추는 새로운 중앙정부의 정책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또 대구·경북 차원에서는 ▷산업입지·금융·인적자원 등 요소시장의 글로벌화에 초점을 둔 시·도정 방향 설정 ▷기업유치 조직체계 단일화, 기업유치기금 조성, 산업입지임대제, 투자자문회사 설립, 패키지형 원스톱 지원체계 마련 ▷지자체-대학-금융기관-연구기관 등을 망라한 대구·경북전문기술인력 양성체계 구축 ▷기업 기획 유치를 위한 대구·경북 공동지원체계 마련 등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석민기자 sukmin@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