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12일 노사간에 합의된 잠정합의안이 포항지역건설노조 조합원 찬반투표에서 부결됐다.
당초 가결될 것이라는 예상과 다른 결과가 나오자 사용자측인 포항전문건설협의회와 포스코, 포항지역발전협의회와 포항상의, 포항시민들도 당혹감과 함께 충격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포항지역건설노조는 13일 오후 2시 포항근로자종합복지관 운동장에서 임시총회를 열고 2006 임단협 잠정합의안 찬반투표를 실시한 결과, 투표자의 64.5%가 반대해 부결됐다고 발표했다. 이날 투표에는 조합원 2천40명이 참여했다.
투표에 앞서 노조원들에게 임단협 교섭결과를 설명한 노조 정남출 수석본부장은 "찬성하면 바로 현장으로 복귀하고, 부결되면 끝까지 투쟁할 방침"이라며 "조합원들의 뜻에 따르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76일간 파업을 이끌어 온 포항지역건설노조는 한층 투쟁수위를 높여 강도 높은 파업을 전망이다.
조합원들이 부결쪽으로 선택한 이유는 ▷76일간의 파업에도 불구하고 노조가 얻은 것이 전무하다는 자괴감 ▷포스코의 손배소 철회 거부 및 노조핵심간부 및 적극 가담자 출입 제한 방침 고수 ▷미흡한 구속자 석방 ▷고 하중근 사인 미규명 등이 복합적으로 얽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특히 이날의 '부결사태'는 기존의 민주노총 산하 건설노조 외에 최근 설립준비 절차에 들어간 한국노총 산하의 새로운 건설노조 설립을 앞당기는 기폭제로 작용, 노노간 갈등이 더욱 심화될 전망이다.
건설노조가 합의안을 부결하자 사용자측인 포항전문건설협의회는 이날 오후 5시부터 긴급모임을 갖고 대책을 논의하고 있다. 모 건설회사 대표는 "실망감을 감출 수 없다."며 "혹시나하며 기다렸던 상당수 회사들이 포스코건설과 맺은 계약을 포기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포항전문건설협의회는 "장기 파업으로 경영위기에 직면해 더 이상 노조에게 어떻게 해줄 여력이 없다."며 "앞으로 누가 파업도시 포항으로 투자를 하러 오겠느냐."며 앞날을 걱정 했다.
포항시와 포항시의회도 14일 오전 간부회의와 의장단 간담회 및 전체 의원 긴급 간단회를 잇따라 열어 대책을 의논키로 했다. 시민들도 안타까워하는 분위기기 역력하다. 이성환(65) 포항뿌리회 회장은 "기대했었는데 너무 아쉽다. 앞으로 노조원들이 지혜롭게 판단해 주길 바랄뿐이다."고 했고, 포항상의 김석향 총괄실장은 "노조원들이 포항시민들의 입장을 고려했어야 했는데 자신들의 권리만 앞세운 것이 아닌지 묻고 싶다."는 반응을 나타냈다.
포스코도 대책수립에 들어가는 등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포스코는 "불법에 대해서는 어떠한 타협도 없다."며 "공사 발주 다변화 등을 모색할 뿐만 아니라 파업중에도 현장으로 출근해 왔던 비노조원들과 출근을 원하는 노조원들을 투입해 대처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날 노조가 합의안을 부결시킴에 따라 추석전 타결은 사실상 물 건너 간 것으로 보인다. 일단은 노사 양측 모두 냉각기가 필요한데다 설령 노조가 전격적으로 추석 전 현장 복귀에 나선다 하더라도 약 9일간의 추석연휴 동안 유급휴일 수당을 지급해야 해 사용자측이 거부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사용자측은 지난 주말 '이번 주 초 까지 복귀하지 않으면 추석전 타결은 없다."고 거듭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파업이 추석을 넘길 경우 상황진척에 따라 연말까지 갈 것이라는 우려마저 나오고 있다.
포항 최윤채·박정출기자 cychoi@msnet.co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