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자녀를 똑똑하게)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신장 방안

▨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이란

'자기주도적 학습(self-directed learning)'이란 '학습의 주체자가 되려고 하는 학습자의 의도적인 노력'이나 '독립적인 학습자로 성숙해 가는 과정'이라고도 정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학습자 스스로가 자신의 학습 상태를 파악하여 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자신의 학습 속도에 맞추어 학습을 조절하고, 학습이 진행되는 동안 달성하고자 하는 학습 목적을 향해 제대로 학습하고 있는지 끊임없이 점검하고, 평가하는 학습'이라고 할 수 있다.

OECD 국가 중에서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이 최하위권이라고 한다. 학교에서는 교사에 의해서, 방과 후에는 학원에 의해서, 가정에서는 부모에 의해서 학생의 학습주도권이 타인주도적으로 대리 행사되고 있는 우리의 상황을 보면 당연한 결과가 아닐까? 많은 학자들은 한결같이 21세기 정보사회는 산업사회와는 달리 개개인의 자기주도성과 문제 해결력을 더욱 필요로 한다는 주장을 피력하고 있다. 이런 이유에서, 실질적으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기르기 위한 각별한 관심과 노력이 경주되어야 할 것이다. 자기주도적 학습력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와 그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방안을 논의해 보자.

▨ 자기주도적 학습력의 요소

▶인지조절 차원

① 인지전략=학습자가 자료를 기억하고 이해하는데 사용하는 실제적인 전략으로서 밑줄 긋기, 강조표시 하기, 베끼기, 색칠하기, 노트하기 등과 새로운 정보를 이전 정보와 관련시켜 어떤 관계를 지니도록 하는 방법, 그리고 학습 내용 요소들 간의 관계를 논리적으로 구성해 보는 전략 등이 포함된다.

② 메타인지 전략=학습자가 학습하면서 자신의 인지과정에 대한 개념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공부계획 세우기, 이해정도 점검하기, 학습 행동조절하기 등이 포함된다. 높은 동기를 가진 학습자들은 도전감을 주는 과제를 선택하고, 어려움에 부딪혔을 때도 끈질긴 인내심을 보이며, 효과적인 학습 전략을 사용하며, 높은 학업성취를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기조절 차원

③ 목표숙달 지향성=학습에 대한 내재적 가치와 노력을 강조하는 것으로서, 숙달목적을 지향하는 학습자는 새로운 지식과 기능의 습득을 지향하고, 과제를 이해하려고 노력하며, 능력 향상과 숙달의 느낌을 중요시한다.

④ 자아효능감=특정 목적을 획득하는데 필요한 자신의 인지능력에 대한 판단으로서, 자아효능감이 높은 사람이 자기조절을 더 잘하며, 학습에 높은 가치를 두고 학습 전략을 더 많이 사용한다.

⑤ 성취가치=주어진 학습을 가치롭게 여기는 이유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중요성 가치(어떤 과제나 성취 영역에서 수행을 잘 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주관적인 중요성을 의미), 활용성 가치(과제 그 자체와는 관계가 없을 수도 있지만 목표를 달성하는 수단으로서 과제에 대한 유용성을 의미), 내재적 가치(어떤 과제를 수행하면서 얻을 수 있는 즐거움)로 나뉜다.

▶행동조절 차원

⑥ 행동통제=여러 어려움에 부딪혀서도 포기하지 않고 학습을 계속해 나가는 능력으로서, 행동 지향적인 사람은 자신의 현재 의도를 유지, 실행하는데 뛰어난 능력을 보여준다. 또 학습과 같은 복잡한 상황에서 보다 긍정적인 정서상태를 유지하고, 긍정적인 기대를 하며, 능률적인 행동을 계획한다.

⑦ 학업시간의 관리=학습 시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서 계획이나 목적 설정과 같은 학습 전략으로부터 나온 결과. 학습시간의 관리와 조절은 자기점검, 계획, 효능감, 만족감과 밀접한 관계를 이루는 행동변인이다.

⑧ 도움구하기=정답을 요구하는 것과 같은 직접적인 방식의 도움이라기보다는 힌트와 같이 문제해결에 단서나 실마리를 제공하는 간접적인 방식의 도움을 뜻한다. 자신의 힘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과제에 부딪혔을 때, 자신보다 더 알고 있다고 여겨지는 이들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것도 자기조절 학습 전략의 하나이다.

▨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에 관한 연구

서울 덕수중 2학년생 201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자기 조절을 잘하면 성적이 올라갈 수 있다는 사실이 증명되었다. 6주간의 실험 동안 매주 2, 3차례 만나 학생들에 맞는 '무조건 책상에 한 시간 앉아 있기'나 '부모의 근거 있는 평가로 자신감 되찾기' 등과 같은 조언과 상담을 통하여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을 신장시켰고, 그 결과, 학업성적이 향상되었음을 밝혔다. 예를 들어, 자기조절 학습력 점수가 4%에서 33%로 높아진 학생은 수학점수가 65점에서 100점으로 올랐고, 7%에서 36%로 높아진 학생은 중간고사에서 목표 성적인 80점을 얻었다. 물론 자기조절력이 처음부터 높았던 성적 상위권 학생들도 자기조절 향상 프로그램을 경험한 후 학업성적이 더욱 높아졌다.

강이철(경북대 교육학과 교수)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