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동구 신서동에 들어서는 혁신도시는 인구 2만 8천~3만 2천 명이 사는 '지식창조 혁신도시'로 건설된다. 혁신도시는 또 안심부도심의 중심핵으로서 동서방향의 선(線)형 도시공간구조를 형성하게 되며, 동서방향의 도시 중심축과 남북방향의 4개의 테마화된 지구축을 갖추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대구 혁신도시 기본구상 연구용역을 맡은 한국도시설계학회는 25일 오후 대구시청에서 열린3차 보고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혁신도시 기본구상 연구용역 결과를 공개했다.
이날 한국도시설계학회는 지난 8월 건설교통부 국가균형발전위원회에 제출했던 추정 인구 3만 5천~4만 명보다는 7천~8천 명이 줄어든 2만 8천~3만 2천 명으로 추정했다. 혁신도시조성에 따른 유발인구 1만 6천~1만 8천 명에다 임대주택단지 관련 정착인구 1만 2천~1만 4천 명을 합친 것.
12개 공공기관 이전에 따른 유발인구는 1만 3천여 명에서 1만 6천~1만 8천여 명으로 늘어난 반면 임대주택단지 관련인구는 큰 폭으로 줄어들었다.
학회는 "면적이 132만 평인 혁신도시를 중·저밀도로 개발, 쾌적성을 갖춘 도시로 만든다는 원칙에 따라 당초보다 혁신도시 계획인구 규모가 줄어들었다."고 밝혔다.
또 혁신도시의 각 용지별 개발면적도 조정됐다. 이전 공공기관이 들어설 ▷공공 업무용지는 14만 4천 평에서 10만 2천 평 ▷주거용지는 27만 3천 평에서 32만 1천 평 ▷상업용지는 5만 8천 평에서 4만 3천 평 ▷도로와 주차장, 공원, 녹지, 학교 등 공공용지는 83만 8천 평에서 84만 9천 평으로 변경됐다.
공공기관 청사부지는 종사자 1인당 22~35평, 산학연 클러스터 부지는 전체 부지의 3~5%, 미래 토지수요를 위한 적정수준의 유보지는 부지의 3% 내외란 원칙에 따라 대구시와 도시설계학회와의 협의를 거쳐 도시개발면적이 산출됐다.
한국도시설계학회는 혁신도시 목표를 '지식창조혁신도시(BRAIN CITY)'로 규정하고 컬러풀(Colorful) 시티, 에코(Eco) 시티, 유비쿼터스(U) 시티, 에듀(Edu) 시티를 도시컨셉으로 할 것을 제안했다.
대구시는 10월 중 기본구상(안) 용역이 최종 확정되는대로 내년 3월까지 개발계획을 승인받고 5월에는 토지보상을 시작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렇게 되면 내년 7월 중 실시계획 승인 후 본격 공사착수가 가능해져 2012년까지 공공기관 지방이전 완료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이대현기자 sky@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