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美 기름탱크 제거 오염협상 전 계약"

주한미군이 기지 반환협상 과정에서 자체 정화사업의 하나로 지하유류저장탱크(UST)를 제거하는데 2천440만달러(244억원)를 지불했다고 주장했으나 UST 제거 작업은 반환협상 훨씬 전에 계약된 일로 오염 협상과는사실상 무관한 일이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녹색연합은 26일 미군기지 UST 제거 작업을 맡은 국내 2개 업체가 금융감독원에제출한 사업보고서를 입수, 분석한 결과 기지내 UST 제거 사업 계약 7건 중 5건이 미기지 오염 협상이 본격화된 2005년 9월 이전인 2002-2004년에 이뤄졌다고 주장했다. 녹색연합에 따르면 미군측은 반환기지 오염 협상 과정에서 UST 제거에 많은 비용을 지불했다고 내세웠으나 A업체는 수주 계약 6건 중 4건을 2004년 5-12월 미군측과 맺었고 B업체는 이보다도 훨씬 전인 2002년 9월 수주계약을 맺은 것으로 나타나 오염 협상과 무관하게 진행된 일이었다는 것. 이는 미군측이 통보한 UST 제거 비용 224억원 중 내역이 드러난 93억원 가운데 76억원 가량이 환경오염 협상과는 무관하게 자체 계획하에 집행됐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우리 정부가 반환 협상 과정에서 이를 지적, 협상안 또는 협상 대상에서 제외했어야 했는데 이의 제기조차 못했다고 녹색연합은 비판했다. 녹색연합 관계자는 "사업보고서 계약 내용은 미군의 UST 제거가 기지 반환을 위한 조치가 아니고 협상의 결과물도 아니라는 사실을 뒷받침해 준다"며 "8개 항목에 걸친 미측의 오염제거 활동 비용 내역을 상세히 공개하고 추가 정화 조치를 요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녹색연합은 25일 이치범 환경부 장관이 반환 미군기지에 대한 추가 정화 조치를 요구하기로 관계 부처 합의를 통해 결정했으며 환경부 미등록 업체인 삼성물산이 미군측과 바이오슬러핑(지하수 오염제거) 계약을 체결한 것을 국내법 위반으로간주, 고발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