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남성 흡연율이 45.9%로 떨어졌다.
이는 지난해 9월의 50.3%보다 4.4% 포인트 하락한 것이다.
보건복지부는 한국갤럽에 의뢰, 지난 21일부터 사흘간 전국의 성인 남성 1천990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화조사 결과 이 같은 흡연율 수치가 나왔다고 27일 밝혔다.
우리나라의 성인 남성 흡연율은 1980년 79.3%를 정점으로 하락하기 시작, 1995 년 60%대(66.7%)로, 2003년 50%대(56.7%)에 각각 진입한 뒤 올해 3월 49.2%로 처음 절반 이하로 떨어졌으며 6월 47.5%, 9월 45.9%로 계속 하락세를 유지하고 있다.
소득수준 별로는 월평균 99만원 이하 소득자가 41%로 흡연율이 가장 낮았고, 다음이 100만-199만원(42.7%), 400만-499만원(43.4%), 500만원 이상(44.7%) 등의 순이었다. 200만-299만원(52%), 300만-399만원(55.8%) 등 중간 소득층의 흡연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시.도별로는 전북이 35.4%로 가장 낮았고, 서울(41.5%), 광주(42.7%), 경남(43.
8%), 부산.인천(각 43.9%) 등이 뒤를 이었다.
복지부 관계자는 이 같은 흡연율 하락에 대해 "2004년 12월 말 담뱃값을 500원 올린 효과가 지속되고 있는 데다 금연 교육.홍보와 금연 클리닉 운영, 금연상담 전화 가동 등도 한몫 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