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재섭 한나라당 대표가 당 대권주자 '빅3'의 조기 당무 참여를 추진하겠다고 밝혔지만 당사자들이 시큰둥한 반응을 보이고 있어 향후 추이가 주목된다.
강 대표는 27일 당 중앙위 주최로 열린 조찬강연에서 "당헌상으로는 대권 주자들이 내년 4월쯤에야 당무에 참여할 수 있지만 내년 1, 2월이 되면 대선경선 후보들과 상의해 당 대표와 최고위원, 후보 등으로 협의체를 구성, 당에서 일을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개정된 당헌에 따르면 대선 240일 전부터 대선 예비후보자 등록제를 운영, 예비후보로 등록된 자를 상임고문으로 위촉할 수 있는 만큼 일러도 4월에야 대권 주자들이 당무에 참여할 수 있지만, 그 시기를 2, 3개월가량 앞당기겠다는 것.
강 대표의 이날 발언은 그동안 대권주자들의 '신분상 차이' 때문에 대권 레이스의 형평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지적이 당 안팎에서 계속됐다는 점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현역 국회의원인 박근혜 전 대표의 경우 대권 경쟁이 본격화할 내년 초에 당 회의나 행사 참석 등을 통해 자연스럽게 자신의 존재를 알릴 수 있지만, '자연인' 신분인 이명박 전 서울시장이나 손학규 전 경기도지사의 경우 4월 이전에는 당무에 관여할 수가 없어 언론 노출과 대중적 관심 등에서 상대적으로 불이익을 받을 수밖에 없지 않겠느냐는 게 그동안 제기됐던 문제의 골자.
이에 따라 이 전 시장이나 손 전 지사를 지지하는 측에서는 '빅 3' 대권 레이스가 출발선에서부터 공평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당 지도부에 대책 마련을 요구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강 대표가 이날 강연에서 "후보들은 전혀 그런 생각이 없는데 주변에서 왜 상임고문으로 위촉하지 않느냐, 경선일을 미룰 수 없느냐며 말을 만드느냐?"고 언급한 것이 이런 관측을 뒷받침하고 있다.
그러나 정작 당사자인 각 대권주자들은 대체로 시큰둥한 반응이다.
박 전 대표의 측근인 유승민 의원은 "어떤 제안도 열린 마음으로 생각해볼 수 있다."면서도 "대권주자들하고 당 지도부가 같이 뭘 하는 게 좋은지 그건 잘 모르겠다. 그 이전에 후보참여가 불필요한 공정경선기구랄까 그런 것이 필요한 게 아닌가 싶다."며 부정적 뉘앙스를 풍겼다.
이 전 시장도 이날 서울여대 강연 뒤 기자들과 만나 "(당에) 들어가지 않더라도 필요할 때 당무를 함께 협의할 수 있다. 고정멤버가 되는 것은 부담스럽다."고 역시 부정적 의견을 피력했다. 그는 다만 "이 문제는 당과 차차 의논하면서 천천히 생각해 볼 수 있다."면서 여지를 남겼다.
민심대장정 중인 손 전 지사는 직접 연락은 닿지 않았으나, 손 전 지사 측 관계자는 "당무참여 이런 문제에 대해서는 큰 의미를 두지 않고 있다. 당이 국민의 마음을 잘 읽는 방향으로 가는 길만 생각하면 되는 것 아니냐?"라고 전했다.
강 대표의 대선후보협의체 구상은 빅3를 한 틀 내에 모아둠으로써 성공적인 경선관리, 나아가 일부 후보자들의 탈당을 예방하려는 포석으로 풀이되지만 후보들로서는 별다른 생산성을 낼 수 없을 것으로 보이는 기구에 굳이 얽매일 필요가 없다는 계산을 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