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송이의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 봄부터 소쩍새는/ 그렇게 울었나 보다// 한 송이의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 천둥은 먹구름속에서/ 또 그렇게 울었나 보다// 그립고 아쉬움에 가슴 조이던/ 머언 먼 젊음의 뒤안길에서/ 인제는 돌아와 거울 앞에 선/ 내 누님같이 생긴 꽃이여//...'
남은 시절이 지나온 계절보다 적은 가을날 국화 옆에 서보면 알까. 눈부신 젊은날을 지나 한참을 더 걸어가야 만날 수 있는 국화꽃을 만나면, 산다는 것이 무엇인지, 문학이 무엇인지 느낄수 있을까.
대구문인협회가 문단원로와 함께하는 '문학과 인생' 가을 좌담회를 열었다. 2일 낮 12시 대구시 수성구 범어2동 한정식당 '사랑채'에서 가진 이날 행사에는 대구의 원로문인 등 70여명이 모여 성황을 이뤘다.
정재익(시조)·김규련(수필)·정휘창(아동문학)·이원성(수필) 등 원로문인과 변영숙·김숙영 시인 등 원로 여류시인, 그리고 조기섭·권기호·김원중·도광의 시인 등 전임 문인협회장들도 참석했다
'노인의 날'이기도 한 이날 문무학 문협회장은 먼저 "유난히 젊음만이 강조되고 한없이 가벼워지기만 하는 오늘날 삶의 경륜과 성숙된 문학의 의미를 되새겨 볼 수 있었으면 한다"고 인사말을 했다.
조기섭(76) 시인은 "대구의 원로들이 이렇게 한자리에 모인 것도 드문 일"이라며 "건강이 허락하는 대로 술도 한 잔씩 나누며 살자"고 운을 뗐다. 이어 도광의 시인과 '산행과 애견'에 대한 이야기를 주고 받으며 '느림의 미학' 속에 담긴 삶과 이별 그리고 인연의 소중함을 시사했다.
술잔이 몇 순배 돌아가자 조기섭 시인과 권기호 시인 간의 특유의 설전이 시작됐다. 오랜 친분과 문학적인 정리를 바탕으로 한 격의없는 농담이 오갔다. 도광의 시인은 아직도 고향의 과수원을 지키고 있는 93세의 부친을 떠올리며 "나는 노인이 아니다"라며 너털웃음을 지었고, 재작년 고희를 넘긴 수필가 박상곤 씨는 수필과 문집 이야기로 화제를 돌렸다.
조 시인은 "살아보니 마지막 벗이 술과 담배더라"며 끝까지 노익장을 과시했다. "이 가을 우리가 가진 것이 시간 밖에 더 있나!" 행사가 끝나자 문인들은 삼삼오오 시내 술집과 다방으로 자리를 옮겼다.
조향래기자 bulsajo@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