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 등 유사시 읍 단위 이상 주민에게 공급할 목적으로 설치된 비상급수 시설 중 14%가량이 음용수(飮用水·먹는 물) 기준을 초과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열린우리당 제종길 의원은 11일 '비상급수시설 운영실태'를 분석한 결과 "전국 음용수 비상급수시설 2천716곳 중 382곳(14.1%)이 음용 부적합 판정을 받았고 71곳은 3년 연속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고 주장했다.
제 의원에 따르면 비상급수시설 검사대상 총 3천922곳 중 11.4%인 448곳이 수질기준을 초과했고 생활용수 비상급수시설 1천207곳 중 5.5%인 66개가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시·도별 음용수 비상급수시설 부적합 판정 비율은 인천이 30.6%로 가장 높고 부산 26.7%, 광주 24.2% 등이고 생활용수의 경우 부적합 판정 비율이 경북 31.7%, 인천 23.1%, 충남 16.9% 순으로 조사됐다. 부적합 판정을 받은 항목은 총대장균군 56%, 일반세균 23%, 질산성질소 11% 순이며 아파트 등 주거지역 223곳, 어린이집과 학교 128곳, 병원 6곳 등도 음용수 기준을 초과했다.
지방자치단체는 수질 초과 시설에 대해 소독(20%), 물탱크 청소(13%), 끓여서 음용(9%), 재검사(8%), 펌핑(8%) 등 미온적인 조치를 취한 뒤 계속 이용토록 해 관리 부실을 드러냈다고 제 의원 측은 지적했다.
제 의원 측은 "읍 이상 지역 주민 4천400만 명에 유사시 식수를 공급하기 위한 시설로 운영되고 있으나 현재는 평시에도 개방, 식수로 공급하고 있어 부적합 시설에 대한 대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