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미 정보판단에 신중…해군 동해서 해수오염 탐지

실험장소 지표 함몰 안돼…방사능 미탐지

한미 정보당국이 북한의 핵실험 장소와 폭발력 등을 판단하는데 매우 신중한 태도를 견지하고 있다.

무엇보다 북한이 9일 단행한 핵실험 규모가 1kt 이하로 중·소형급이어서 정확한 데이터를 추출해 내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윤광웅(尹光雄) 국방장관도 10일 국회 본회의 긴급현안 질의에서 "북한 핵실험과 관련해 한미 정보당국이 정확한 판단을 하는데 수주가량 소요될 것"이라고 말해 정보분석 작업의 어려움을 토로했다.

한미 정보당국이 북한의 핵실험을 분석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은 핵실험 장소로 추정되는 지역의 지표가 함몰되지 않고 이 지역의 대기에서 방사능 오염물질이 검출되지 않고 있기 때문. 윤 장관은 이날 '핵실험 장소가 함몰되었느냐.'는 한나라당 정형근 의원을 질문을 받고 "위성사진으로 파악되지 않고 있다."고 답변했다.

통상 지하에서 핵실험을 하면 땅이 꺼지거나 큰 구덩이가 생기는 등 지형이 변화되어야 하는데 이런 모습이 관측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500㎞ 상공에서 지상 12㎝ 크기의 물체를 식별할 수 있는 미국의 KH-12 정찰위성 등으로 핵실험 장소를 촬영했으나 어떠한 지형변화도 관측되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 위성은 현재 우리 정부가 추정하고 있는 함경북도 화대군 동북쪽 15㎞ 지점과 미측이 꼽고 있는 함북 길주군 풍계리 등을 밀착감시하고 있다.

또 핵실험 추정 장소에서 이동하는 기류에 방사능 물질이 검출되지 않고 있는 것도 분석에 지장을 주고 있다.

미국은 동해상에 특수정찰기 WC-135를 띄워 대기를 분석하고 있으나 아직 방사능 물질은 검출되지 않고 있다.

핵실험 후 배출되는 방사능 물질은 성질이 크게 달라져 애를 먹게 되는 반감기(半減期)가 4시간~10년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반감기가 되기 전에 방사능 물질을 확보하면 핵실험이 언제 이뤄졌는지 알 수 있다. 우리 정부도 핵실험으로 방출되는 방사성 동위원소 가운데 불활성 기체인 '제논(Xenon·크세논)'을 탐지할 수 있는 측정장비를 스웨덴 국방과학연구소로부터 임대할 계획이어서 13일 이후에나 증거를 포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윤 장관은 "핵실험 장소에서 방사능이 나와 이동하는 시간 등을 고려하면 2, 3일 후에나 판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방사능 물질이 동해상으로 떨어질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 해군 함정에 방사능 측정 요원을 승선시켜 해수에 포함된 방사능을 측정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윤 장관은 설명했다.

윤 장관은 "북한 핵실험의 폭발력은 TNT 800t 규모로 추정하고 있다."면서 "중국과 러시아, 일본 등이 판단하고 있는 자료를 건네받아 종합적으로 분석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