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안보리의 대북 제재 결의에 따른 후속 조치 이행과 관련, 6자회담 당사국들 간의 논의가 이번 주중 본격화된다.
그러나 한국 및 중국·러시아가 대화를 통한 해결 쪽으로 기울어 있는 반면 미국과 일본은 대북 압박수위를 대폭 강화하는 강경론을 펴고 있어 논의 과정에서 적잖은 갈등이 표출될 전망이다.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은 지난 13일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에 이어 16일 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전화통화를 갖고 북핵문제 해결 및 유엔 결의안에 따른 후속 조치와 관련한 양국의 입장을 조율한다.
이어 노 대통령은 오는 17일 방한하는 미하일 프라드코프 러시아 총리를 접견, 의견을 교환할 예정이다.
이에 앞서 지난 14일에는 러시아 부총리와 중국 특사가 만나 유엔 제재는 북한의 6자회담 복귀에 목표를 둬야 한다는데 인식을 같이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상황에서 콘돌리자 라이스 미국 국무장관은 19일 한국을 방문하는 등 17일부터 한·중·일 3국을 연쇄 방문, 대북 제재 방안 등을 논의하게 되는데 특히 한국과 중국의 적극적인 동참을 강조할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노 대통령은 반기문 외교통상부 장관의 유엔 사무총장 선출을 계기로 내달 중순께 후임 외교장관을 지명하는 등 외교안보팀 개편을 단행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윤광웅 국방장관과 김승규 국정원장도 교체하는 방안을 신중히 검토 중이며, 송민순 청와대 안보실장이 외교장관으로 발탁될 경우 안보실장까지 교체돼 외교안보팀의 대폭 개편으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서봉대기자 jinyoo@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