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국내車 전편보다 나은 속편은?

자동차 업체들은 후속 모델 또는 변경 모델을 내놓을 때마다 긴장감에 휩싸이곤 한다. 야심차게 선보이는 새 모델이 시장에서 어떤 반응을 불러일으킬지, 목표했던 판매량에 부응할지 미지수이기 때문이다.

18일 5개 국내 자동차 업체에 따르면 이들 업체로 하여금 웃음을 짓게 만든 최근의 대표적인 모델은 현대차의 그랜저와 쏘나타, 기아차의 뉴오피러스와 프라이드, GM대우차의 토스카, 르노삼성차의 SM3 등이다.

업계 관계자는 "통상 후속모델이 나올 경우 신차효과가 반영되는 처음에는 판매량 증가로 이어지다 하향 조정되게 마련"이라며 "하향 조정된 수치를 봐야 후속 모델의 성패를 얘기할 수 있다."고 말했다.

현대차는 그랜저와 쏘나타의 후속모델에 있어 모두 '흡족한' 성과를 거뒀다. 현재의 그랜저 전 모델인 그랜저XG의 경우 지난 2004년 한해 월평균 3천800대가 팔렸으나, 후속모델인 그랜저TG의 경우에는 지난해 6월 출시된 이후 두 배 가까이 많은 월평균 7천100대가 팔리고 있다.

또한 쏘나타의 경우에도 직전 모델인 EF쏘나타가 지난 2003년 한해 월평균 7천700대가 팔렸으나, 지난해 9월 시장에 선보인 새모델 NF쏘나타는 올들어 월평균 9천300대가 판매되고 있다.

기아차의 뉴오피러스는 '대박'을 터뜨린 경우다. 엔터프라이즈 후속으로 지난 2 003년 선보인 오피러스는 월평균 800대 미만, 나아가 올들어 월평균 500대가량이 팔렸으나, 지난 6월 뉴오피러스 출시 이후 7∼9월 월평균 판매량은 2천500대로 뛰어오르며 대형차 부문 판매 1위를 달리고 있다.

소형차 리오의 후속모델로 출시된 프라이드 역시 과거 '프라이드의 신화'를 재현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지난 2004년 한해 총 2천273대(월 200대 미만)만이 팔린 리오에 비해 프라이드는 출시 이후 현재까지 리오의 1년 판매량에 육박하는 월평균 1천900대가량을 팔며 소형차 시장 1위를 고수하고 있다.

르노삼성의 SM3는 다른 완성차 업체에 비해 급격한 판매량 신장으로 이어지지는 않았으나, 월평균 2천275대이던 판매량이 지난해 8월 페이스리프트 모델인 SM3 뉴제너레이션 출시 이후 월평균 실적이 20%가량 증가한 2천680대를 기록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