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시 용적률 인센티브 확대 놓고 '논란'

재개발.재건축 단지의 지역 건설 업체 참여 확대를 위한 대구시의 용적률 인센티브 확대 방안을 두고 이견이 빚어지고 있다.

대구시가 지역 업체 참여시 부여하는 인센티브를 현행 5%에서 15%까지 올리는 방안을 추진하고 나서자 외지 대형 건설사들과 일부 재개발 조합들이 '공정 거래 위반'이라며 반발하고 있는 탓이다.

시 관계자는 "지역업체 참여 인센티브를 5% 부여하고 있지만 대다수 재개발.재건축 단지가 시공사 참여 조건을 도급 순위 30위 이내 업체로 제한, 실효성이 없는데다 지역 건설업체에서도 인센티브 확대를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며 "지역경제 활성화 차원에서 추가 인센티브 용적률을 10-15%까지 확대해 도시환경 및 주거정비법 기본 계획에 포함 시킬 계획"이라고 밝혔다.

실제 시는 대형 재개발.재건축 단지의 외지 업체 '수주 싹쓸이'를 막기 위해 지난 7월부터 지역 업체가 공동 시공사로 참여하면 공사 금액 비율에 따라 20% 이상이면 5%, 10% 이상일 때는 3%씩의 추가 용적률을 부여하고 있지만 지난달까지 시공사를 선정한 지역내 재개발 단지 26개 중 지역 업체 참여 단지는 1곳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러한 시 방침에 대해 외지 업체들과 일부 재개발 조합은 용적률 인센티브 15% 부여는 지나치게 높다며 반대 목소리를 내고 있다.

이들은 "용적률이 15%까지 차이가 나면 수익성에 큰 차이가 나며 결국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을 수 밖에 없다."며 "지역업체의 경우 브랜드 인지도가 떨어지는데다 자금력이 부족한 회사가 많아 무조건 지역 업체를 참여시키는데는 한계가 있으며 공정거래법에도 위반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지역 건설업체와 시는 용적률 10~15% 방안이 우려할 수준이 아니라는 반응이다.

건설협회 대구시회 관계자는 "현재 시가 선정한 200여곳의 재개발.재건축 단지 중 각종 제약으로 220~250%인 기본 용적률도 확보할 수 없어 인센티브 자체가 무의미한 곳이 많다."며 "지역 업체 단독 시공이 아니라 공동 시공시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만큼 사업 추진에 별다른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한편 대구시에 따르면 2003년 지역에서 분양된 아파트 2만 2천800가구 중 지역 업체 분양 물량은 36%를 차지했으나 2005년(2만 3천700가구) 20%로 떨어진 뒤 올 상반기(9천400가구)에는 15% 수준까지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재협기자 ljh2000@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