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中특사 탕자쉬안-김정일 면담…만남 성사 일단 긍정적

중국 후진타오 국가주석의 특사인 탕자쉬안 국무위원이 19일 오전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면담했고 두 사람 사이엔 무슨 말이 오갔을까? 일단 긍정적인 결과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최고지도자를 정점으로 정연한 유일 지배체제를 구축하고 있는 북한에서 김정일 위원장과의 면담은 가장 중요한 의사소통로이고 북한의 정책 결정과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루트.

그러나 중국이나 남한의 특사가 항상 김 위원장과 면담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결국 북한이 뭔가 '선물'(?)을 줄 수 있을 때만 만남이 성사됐다.

2002년 10월 제임스 켈리 당시 미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의 특사 방북 이후 고농축 우라늄(HEU) 문제가 불거지고 제2차 북핵위기가 시작되던 상황에서 당시 임동원 청와대 통일외교안보특보가 2003년 1월 당시 노무현 대통령 당선자 측 인수위원이던 이종석 현 통일부 장관과 대통령 특사자격으로 방북했지만 김 위원장과 면담은 이뤄지지 못했다.

반면 김 위원장과 면담이 이뤄진 경우에는 이후 분위기가 면담 이전과는 사뭇 다른 상황으로 이어졌다는 점에서 이번 탕 국무위원의 면담 결과에 기대가 모아지고 있는 것이다.

탕 국무위원은 지난 4월 27, 28일과 작년 7월 12∼14일 두 차례에 걸쳐 특사 자격으로 북한을 방문해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회담을 가졌다.

특히 작년 7월 면담은 6자 회담 복귀를 결심하고 난 뒤 이뤄졌고 북측의 적극적인 비핵화와 회담 참여 의지를 이끌어냄으로써 9·19공동성명을 이끌어내는데 밑거름 역할을 했다.

류젠차오 중국 외교부 대변인이 19일 정례 브리핑에서 "이번 방문이 한반도 정세에 중대한 변화가 생긴 상황에서 이뤄진 것이어서 매우 중요하다."면서 "쌍방이 한반도 정세에 관해 의견을 나누었다는 그 자체만으로도 큰 의의가 있다."고 말한 것도 이 같은 연장선에서 이해할 수 있다.

한 대북 전문가는 "문제는 북한이 탕 국무위원에게 어떤 이야기를 하느냐가 아니라 그 입장을 미국이 어떻게 받아들이느냐."라며 "김 위원장이 다소 긍정적인 입장을 전달하더라도 미국이 원하는 수위가 아니면 문제해결에 실마리가 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