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中, 탕자쉬안 방북결과에 조심스런 낙관

중국이 탕자쉬안(唐家璇) 국무위원의 방북 결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북핵 위기가 여전히 기로에 놓여 있다며 조심스럽지만 낙관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다.

후진타오(胡錦濤) 국가주석의 특사로 평양에서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을 만나고 돌아온 탕 국무위원은 20일 콘돌리자 라이스 미국 국무장관과의 회담에서 그의 방북이 시간낭비는 아니었다고 말했다.

탕 국무위원은 회담 시작과 함께 라이스 장관과 인사를 나누면서 "다행히도 이번 방문이 헛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리자오싱(李肇星) 외교부장도 탕 국무위원이 북한 관리들과 만나 교착상태에 있는 6자회담의 조속한 재개방안을 논의했다면서 이를 통해 얻어진 긍정적인 요소들에 대해 언급했다.

그는 "최소한 상호 이해를 증진시키는 소득이 있었다"고 말하고 "모두가 어떻게 하면 6자회담을 가능한 한 빨리 재개할 수 있는지를 논의했다"고 소개했다.

그는 그러나 북한과 구체적으로 무슨 합의를 이루었는지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아 실제 어떤 진전이 있었는지는 알 수 없다.

반면 원자바오(溫家寶) 총리는 라이스 장관과의 접견에서 지나친 낙관론을 경계하는 조심스런 태도를 보였다.

원 총리는 "한반도 핵문제가 현재 기로에 놓여 있다"면서 "어느 길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동북아와 세계의 평화.안정과 직결된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한반도의 긴장을 완화하는 유일한 길은 대화와 협상이라는 외교적 수단을 통한 문제해결이라는 중국의 기존 입장을 거듭 강조했다.

원 총리는 "한반도 핵문제를 외교적 수단과 대화를 통해 푸는 것이 모든 당사국에 유리하다"면서 "이것 말고 다른 선택은 생각할 수 없다"고 말했다.

한편 중.미 외교장관 회담에서 제재 이행 문제를 놓고 양국 장관 간에 오간 대화내용은 낙관론과 다소 거리가 있어 보인다.

라이스 장관은 중국 지도자들과의 회담에서 유엔 안보리 대북 결의의 전면적 이행을 중국에 촉구했으나 중국은 북한을 드나드는 선박을 해상에서 가로막고 화물을 검색하는 수준의 제재에는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라이스 장관은 유엔 결의의 전면적 이행의 중요성을 강조한 반면 리자오싱 부장은 중국이 유엔 상임이사국으로서 유엔의 결의를 충실히 따르고 있다고 말했다.

분석가들은 북한과 문제해결의 가능성이 열렸다면 이 문제를 놓고 이런 정도까지 신경전을 벌일 이유가 없었다고 지적하고 있다. 성급한 낙관은 아직 이르다는 느낌을 갖게 하는 대목이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