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부동산 대책 이후 아파트 인기는 시들해진 반면 투자처를 찾지 못한 뭉치돈이 상가로 몰리고 있다.
1가구 2주택 중과세와 나대지 및 농지에 대한 양도세가 내년부터 60%로 올라가면서 40억 원 이하까지는 종부세 대상에서 제외되는 업무용 상가로 돈이 몰리고 있기 때문이다.
올 들어 지난 9월까지 대구 지법 경매에 나온 수성구 지역 상가 평균 낙찰가율은 93%로 감정가와 비슷한 수준으로 올라간 상태며 지난 2004년과 2005년의 낙찰가율 77%와 76%에 비하면 20% 이상 상승했다. 또 평균 유찰 횟수도 0.61%로 지난해 1.09%의 절반 정도 수준일 정도로 인기를 끌고 있다.
이에 반해 경매로 나온 수성구 지역 아파트 낙찰가율은 지난해까지 90% 수준을 유지해 왔으나 올 들어 3/4분기까지는 85% 수준에 그치고 있다.
리빙경매 하갑용 대표는 "대구 지역 전체 상가 낙찰가율도 66%로 예전에 3-4% 올라갔으며 역세권이나 대로변 물건은 투자자들이 계속 몰리고 있다."며 "수성구 상가는 인기는 좋지만 올 들어 지금까지 나온 경매 물건은 예전의 40% 수준인 20여 건에 그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지하철 2호선 주변 역세권과 수성구 지역 대로변 지역은 매물 품귀 현상까지 일어나며 가격도 1-2년 사이 두세 배로 뛰는 등 과열 현상까지 빚어지고 있다.
부동산 분석학회 권오인 감사는 "연간 수익률 8% 이상 되는 10-20억 사이 매물을 찾는 수요자들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상반기 이후로 적당한 매물은 자취를 감춘 상태"라며 "상업 지역 토지 가격이 상승하고 매물이 부족하면서 최요지 역세권 지역 상가 부지 가격도 2년 전 700-800만 원 수준에서 2천만 원까지 오른 상태"라고 말했다.
이재협기자 ljh2000@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