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유비쿼터스 도시(u-city)' 어디까지 왔나?

유비쿼터스 도시(u-City)가 우리 곁으로 다가오고 있다. 세계 각국 및 국내 각 도시들이 앞다퉈 u-시티를 표방하며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것. 불과 10년 전만 해도 상상하지 못했던 유비쿼터스 적용 아파트가 현실로 나타나고 유비쿼터스 도시 건설도 잇따르면서 점점 데이터에서 유비쿼터스 시대로 전환되고 있다. IT 기술과 건설이 결합해 도시 공간 하나하나에 IT 기술을 내장, 언제 어디서나 IT 기술로 움직이는 미래형 도시인 U-시티. 편리함과 건강, 안전, 쾌적한 생활을 추구하는 유비쿼터스 도시의 개념 및 추진 현황, 문제점 등을 살펴본다.

◆U-시티 개념 및 사업 영역

유비쿼터스 도시(u-City)란 한마디로 첨단 정보통신 인프라와 유비쿼터스 정보서비스를 도시공간에 융합해 도시생활의 편의증대와 삶의 질 향상, 체계적 도시관리에 의한 안전보장, 시민복지 향상, 신산업 창출 등 도시의 기능을 혁신시킬 수 있는 차세대 정보화 도시다.

다시 말해 도시 기능과 관리의 효율화를 위해 기존 정보인프라를 혁신하고 유비쿼터스 기술을 기간시설에 접목시켜 도시 내에서 발생하는 모든 업무를 실시간으로 대처, 주민에게 편리·안전·안락한 생활을 제공하는 신개념의 도시다.

이러한 u-시티의 주체로는 크게 지자체 등 공공기관과 기업, 개인·가정 등이 있다.

공공기관은 u-시티 사업개발 및 운영권, 유비쿼터스 환경의 행정서비스 인프라 개발 및 관리 등을 주요 영역으로 하는데 기상예보 및 방재, 도로교통 시스템 등 도시 관리의 효율화를 통한 대민서비스 향상, 도시 가치 상승 및 이미지 제고, 비용 절감, 지역산업 활성화, 기업유치 등을 기대하고 있다.

기업의 경우 전세계 네트워크를 통한 신속 정확한 서비스는 물론 유비쿼터스 기술 및 인프라를 이용, 자산 및 물류, 생산공정 관리, 연구개발 등 기업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개인은 텔레매틱스, u-홈네트워크, u-헬스, u-교육, u-시큐리티 등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신속하게 정보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한편 편리하고 즐거운 삶을 위한 각종 정보서비스 이용, 생활 지출비용 절감 등의 효과를 누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u-헬스 및 u-교육의 경우 실생활에 적용되면 2010년쯤엔 국내시장 규모가 각각 1조8천억 원, 4조4천억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추진 현황

국내의 경우 첨단산업 유치를 목적으로 한 다른 나라 도시들과 달리 실제 유비쿼터스 서비스 구현을 위한 신도시 개발이 지자체, 대기업 및 공사 등 사업자들의 주도로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중앙정부도 올해 법·제도 정비, u-시티 표준모델 개발, 서비스 표준화, 내년 시범사업 추진 등 u-시티 관련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올 초 건설교통부와 정보통신부도 u-시티 건설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법, 제도 정비와 표준화된 u-시티 모델 개발 등을 본격 추진하고 있다. 또 u-시티 포럼 분과위원회에서 마련된 법안과 외부용역 'u-시티 건설 지원법(가칭)' 등을 통해 법제정에도 착수했다.

현재 u-시티로 개발될 예정인 대표적인 신도시는 화성 동탄, 용인 흥덕, 파주 운정, 수원 광교신도시, 행정중심복합도시와 대구, 김천을 포함, 2012년까지 개발되는 혁신도시 11곳, 기업도시 등이다. 또 상당수 지방자치단체도 이와 별도로 기존 도시의 u-시티 전환에 대한 비전에 대해 활발히 논의하고 있다.

12만 명을 수용할 예정인 화성 동탄신도시의 경우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을 선도적으로 적용, 한국의 도시 수준을 높이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는데 내년 사업이 완료되면 국내 최초의 u-시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사업지구 전체에 광케이블망을 구축하고 무선랜의 AP(Access Point)를 공공장소 및 공공건물 내에 설치하는 한편 주민 안전과 도시기반시설 및 공공정보서비스의 종합적인 관리를 위해 공공정보센터도 설치하게 된다.

파주 운정신도시의 경우 IT와 친수환경생태가 어우러진 u-시티로 건설될 예정으로 12만5천 명의 인구가 거주할 것으로 예상되고, 수원 광교신도시도 수원과 용인에 걸쳐 341만 평 규모의 복합·자족신도시로 건설될 전망이다.

있다.

조병선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네트워크경제연구팀 팀장은 "u-시티를 건설하더라도 IT, 건설 등 기술 중심이 아닌 인간 중심의 도시로 거듭나야 하는데 이를 위해선 단기적인 성과에 연연해선 안 되고 국가 차원의 거시적이고 장기적인 도시 건설 추진돼야 한다."며 "u 문화 창달을 위해선 IT 전문가 등 특정 분야나 산업이 아닌 사회, 문화 측면 등 전반적인 산업임을 인식하고 다양한 분야를 망라한 민간, 학계, 정부, 기업 등 상호 간 지속적인 협력이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제 및 개선점

도시 건설 비용이 많이 드는데다 폐쇄회로, 무선전자태그(RFID) 등의 사용 일상화에 따른 사생활 침해, 개인정보 침해 등 우려도 적잖아 개인정보 침해를 방지하기 위한 사회적 인프라 구축 및 기술적 보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범죄예방, 교통정보수집, 환경오염감시 등을 위해 각종 폐쇄회로가 설치될 것으로 보이는데다 개인의 위치추적이나 생체정보인식이 가능한 무선전자태그 사용 등으로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가 크다.

특히 도시통합네트워크센터는 u-시티 내 통신망, 교통망, 시설물 등으로부터 수신된 각종 정보가 집중되는 곳인 만큼 보안문제 해결이 최우선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실제 u-시티에 보급되는 무선전자태그 사용에 관한 현재 법·제도적 기준이 미흡한데다 지난해 정부가 마련한 'RFID 프라이버시보호 가이드라인'도 아직 법적 구속력이 없어 제도 개선이 절실한 상태다.

이에 보안인증제도 및 관련 보험서비스 등을 도입, 시민들의 불안을 최소화하고 보안솔루션 업체를 중심으로 u-시티 내에서의 원천 보안기술을 확보할 필요성이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이외 사업 모델 및 재정적 한계, 문화적 거부감 등도 풀어야할 숙제로 남아 있다.

삼성경제연구소는 관계자는 "오는 2015년쯤엔 u-시티에서 생활하게 될 규모가 230여만 명 정도로 추정돼 이에 따른 파급효과도 클 것으로 전망된다."며 "이에 지속적인 제도 개선과 정보보호기술 확보를 통해 프라이버시 존중과 사회적 안전 등의 가치를 모두 구현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호준기자 hoper@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