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故 최규하 전 대통령 '비망록' 존재 가능성 높다

고(故) 최규하 전 대통령이 회고록 혹은 비망록을 남겼는지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1970년대 말과 1980년대 초 '10·26'에서 '12·12', '5·18' 등 격동의 정치 상황에 대해 숱한 의혹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이에 대한 진실을 말해 줄 수 있는 최 전 대통령의 비망록 등이 존재할 경우 상당한 파장을 낳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최 전 대통령 측근은 "회고록 같은 것은 없는 것으로 안다."면서도 "개인적 메모는 있을지 모르겠다. 꼼꼼하게 기록하는 습관이 있었다."고 말해 여운을 남겼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최 전 대통령이 거의 집필을 끝낸 뒤 사후에 공개하도록 지시한 '회고록'이 존재하고 있다는 얘기도 들리고 있다.

특히 23일 최 전대통령 빈소을 찾은 전두환 전 대통령은 "고인은 굉장히 섬세하고 풍부한 분이기 때문에 모든 것을 기록으로 가지고 있었을 것"이라며 "발표되면 여러분이 궁금한 내용이 밝혀지리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회고록 혹은 비망록이 존재할 것이란 뜻이다.

1990년대 중반 서울지검 공안1부장으로 12·12 및 5·18 사건을 직접 수사했던 한나라당 장윤석 의원도 "회고록이나 비망록을 쓰고 있었다는 얘기를 들었다."며 "그러나 확인할 수는 없었다."고 덧붙였다.

장 의원은 "(당시 수사과정에서) 최 전 대통령이 측근인 최광수 전 외무장관의 진술을 통해 하고 싶은 얘기를 했을 것으로 본다."며 "당시 수사팀은 최 전 대통령의 직접 진술을 확보하지는 못했지만 최 전 장관이 대신 전했을 것으로 판단했다."고 전했다.

그러나 당시 대검 공안부장으로 수사를 실질적으로 지휘했던 같은 당 최병국 의원은 "조사과정에서 회고록 집필 얘기를 공식적으로 들은 적은 없다."고 했다.

최 의원은 "최 전 대통령은 전통 관료로서 국익과 관계되는 일은 철저히 지키겠다는 스타일이었고, 그렇게 자신의 직분을 다한 것으로 안다."며 회고록이 없다는 쪽에 무게를 뒀다.

이처럼 시각들이 엇갈리고 있는 가운데 열린우리당의 서영교 부대변인은 "최 전 대통령은 침묵하고 떠났지만 지금이라도 다시 밝히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최 전 대통령의 주변 사람들이 책임있는 모습을 보여야 할 때"라고 지적, 당시의 정치적 상황이 공개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반면 한나라당은 회고록 존재 여부에 대해 당내 의원들 간의 시각이 엇갈리고 있어 대변인실에서 논평을 자제하고 있는 등 신중한 분위기를 보이고 있다.

서봉대·박상전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