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2월부터 폐원단 등 공장에서 나오는 섬유폐기물을 갖다내지 말라는데 그럼 어디 갖다주라는 말입니까. 폐기물 처리시설은 내년 9월에 완공된다는데 6개월동안 쓰레기를 갖고 있으란 말인가요?"
섬유업계 사람들의 불만이 크다. 대구시가 내년 2월부터 섬유폐기물 등 '사업장 배출시설계 폐기물'을 위생폐기물 처리장(달성군 다사읍)에 묻지 못하게 하면서 대구권 섬유업체에서 나오는 하루 수십t의 폐기물이 갈 곳을 잃은 것이다.
결국 비용을 들여 사설 폐기물 처리업체를 찾게된 섬유업계는 "명색이 대구의 주력업종인데 해도 너무한다."는 하소연을 쏟아내고 있다.
대구시는 지난 10년간 섬유업체들의 폐기물을 매립장에 묻도록 했다. 1996년 이전까지 개별업체들은 섬유폐기물을 회사내에서 소각, 대기오염문제가 불거졌고 대구시는 매립을 유도했다.
하지만 현행 폐기물관리법은 섬유폐기물 등 사업장 폐기물 매립을 금지하고 있어, 그동안 '법위반'이란 논란이 끊이지않았다. 결국 대구시는 내년 2월부터 전격적으로 사업장 폐기물 매립을 금지키로 했다.
하지만 대구시가 '대체시설'을 마련해주지 않은 상태에서 '매립 금지조치'가 내려졌다. 대구염색공단내에 소각로를 설치, 폐기물을 처리하기로 했으나 준공이 내년 9월에나 가능한 탓에 꼬박 반년동안 업체들은 '소각로 찾아 삼만리'를 해야할 형편.
섬유업체 한 관계자는 "내년 2월부터는 사설 소각업체에 처리를 맡겨야하는데 처리 비용이 10배이상 뛴다."며 "가뜩이나 어려운 형편에 대구시가 원가부담을 줄여주지는 못할망정 원가부담을 더 늘리는 것이 말이 되느냐."고 발끈했다.
대구시 조사에 따르면 대구염색산업단지 경우, 섬유폐기물 발생량은 월 360t에 이르며 대구시 위생매립장에서 처리하면 1t 당 1만8천500원이 드는 반면, 사설 소각업체에 의뢰하면 처리비가 t당 19만 원 정도 들어 실제 10배정도 처리비가 뛰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사설 소각업체가 구미를 비롯, 경북에 위치해 운반비 상승도 피할 수 없다.
대구염색공단 한 관계자는 "공단내에 소각로가 생기기 전까지는 섬유 폐기물에 대한 위생매립장 반입을 허용해야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대구시는 "법규정때문에 내년 2월부터 매립을 전면 금지할 수 밖에 없다."고 했다.
전창훈기자 apolonj@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