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독도는 한국땅' 일본어 노랫말 등장

사회풍자 가수 서희씨 노래…"일본인에 경고 의미 담았다"

일본어 노랫말로 독도가 한국의 영토란 사실을 경고하는 내용이 담긴 노래가 등장했다.

화제의 노래는 사회풍자 가수로 통하는 서희(51·본명 서선택)씨가 부른 '신(新) 독도는 우리땅'.

1982년 정광태씨가 부른 '독도는 우리땅'의 작곡가 박인호씨가 24년 만에 만든 록 비트풍의 신나는 음악이다.

2003년 서씨의 사회 풍자곡 '대한민국 싸우지마'의 멜로디에 강하고 직설적인 노랫말을 붙였으며 동요 같은 '독도는 우리땅'과는 전혀 다른 느낌을 준다.

"사천팔백만 이천삼백만 남북의 연합군 / 최후의 한 사람까지 일어나리라 / 우리 땅은 우리땅 우리가 지킨다 / 완전무장 정신통일 근무중 이상무"로 시작하는 이 노래의 후렴구는 일본어 가사로 돼 있고 독도 영유권을 주장하는 일본에 강한 경고의 메시지를 던진다.

"도쿠도와 강고쿠노 료오도 데스'(독도는 한국의 영토입니다) 도오카 도오카(제발 제발) 우기지 좀 마"

일본어 가사가 들어 있다는 이유로 방송심의 과정에서 재심의를 거치는 우여곡절을 겪기도 했다.

'마법전설'이란 예명으로 이 노래를 부른 서씨는 각종 독도 관련 행사에 의욕적으로 참여한 덕분에 '독도 지킴이'란 애칭을 얻었다.

독도 문제 외에 고구려와 간도 등 역사와 사회 문제에도 큰 관심을 보여왔다.

1999년부터 써온 예명 서희에는 외교적 담판으로 강동6주를 회복한 고려 문신 서희처럼 한국이 외국과의 갈등이나 외교에서 지혜로운 승리를 거둘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이 반영돼 있다.

2004년 '아 고구려'란 노래를 발표한 뒤 공연과 강의를 통해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을 비판해왔고 최근에는 '간도되찾기운동본부' 홍보대사로 위촉되기도 했다.

서씨는 "'독도는 우리땅'이 전 국민에게 자신감과 자긍심을 느끼게 해줬다면 '신 독도는 우리땅'은 일본인에게 주는 경고를 담고 있다"며 "이 노래를 부를 때 마다 가슴이 뭉클해진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