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이 영화 강추!) 열혈남아

'차가운 살의'와 '뜨거운 모성'이 맞닥뜨렸다.

아들을 죽이려고 온 깡패에게 느끼는 이 감정은 뭐란 말인가. 엄마 같은 이 여인네가 죽여야 할 '그놈'의 어머니라니….

신예 이정범 감독의 '열혈남아'는 한류와 난류가 교차하는 지점의 풍부한 고기떼를 노린다. 수정주의 '조폭영화'랄까. 칼과 방망이를 들고 떼로 몰려다니며 치고받는 일관된 폭력에서 벗어나 모성을 녹여 넣었다. 폭력+휴머니즘이 낚시 포인트다.

재문(설경구)은 성질 까칠한 깡패다. 그 성질 때문에 조직에서도 겉돈다. 친구를 죽인 대식(윤제문)에게 복수하기 위해 벌교로 향한다. 그가 고향에 내려오면 죽이려는 계획이다. 대식 어머니(나문희)의 국밥집을 서성이던 그는 묘한 감정에 휩싸인다. 그녀 또한 재문으로 인해 죽은 둘째 아들을 떠올린다.

왕자웨이 감독의 '열혈남아'(1987년)를 기억하는 이들이 많을 것이다. 건달의 사랑이야기를 감각적으로 그린 수작이다. 한국식으로 리메이크하려다 '실패'한 이 감독은 이를 엄마로 대체해 새로운 '열혈남아'를 탄생시켰다.

살의로 똘똘 뭉친 깡패. 기껏해야 의리 정도에 피가 끓던 그에게 문득 어머니의 정이 찾아온다.

"주는 대로 처먹어!" "아이씨, 왜 이래?" 겉 대화는 거칠기 짝이 없다. 입에 넣은 밥도 뱉어내고, 욕설을 퍼붓지만 속은 갈수록 뜨거워진다. 죽어도 안 입으려는 꽃무늬 남방을 사주거나, 심수봉 테이프를 틀어주는 대목에선 흡사 모자 간이다.

설경구의 연기가 빼어나다. 침을 찍찍 뱉고, 동행한 똘만이 치국(조한선)을 미친 듯이 패는 장면은 가슴을 서늘하게 해준다. '칼리토'의 알 파치노에 버금가는 느낌을 던져준다. 어머니 역의 나문희도 모성애의 화신이다.

아쉬움이 있다면 전반부의 지나친 느슨함이다. 깡패에게 뜻하지 않게 찾아온 낯선 감정을 설명하는데 너무 많은 시간이 걸린다.

그러나 후반부의 긴장감은 호흡을 멎게 한다. 비오는 날 칼을 들고 대식의 방문 밖에서 숨을 몰아쉬거나, 마지막 교실에서 재문과 대식이 맞설 때는 신인감독이라고 보기 어려운 팽팽함을 느끼게 한다.

김중기기자 filmtong@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