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영어 투자 한해 15조원"…'상용어화' 추진해야(삼성硏)

삼성경제연구소는 우리나라 영어교육의 고비용- 저효율 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영어 교습법을 바꾸고 시범지역을 정해 영어를 공용어처럼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연구소는 15일 '영어의 경제학' 보고서에서 지난해 기준 영어 관련 국내 투자액을 사교육비 14조 3천억 원, 평가비용 7천억 원 등 약 15조 원으로 추정했다. 전체 영어 투자액은 우리나라 GDP 806조 6천억 원의 1.9%, 영어 관련 사교육비는 교육예산 30조 1천억 원의 47.5%에 해당하는 규모다. 이 분석에서 영어 관련 사교육비는 초등학교에서 대학까지 전체 학생 1천193만 5 천명이 한 달에 평균 10만 원(1년 120만 원)씩 영어 학습에 지출한다는 가정에 따라 산출됐다. 그러나 보고서에 따르면 이처럼 막대한 투자에도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IMD)이 평가한 한국인의 외국어 구사능력은 61개국 가운데 35위 수준에 불과하고, 동아시아국가의 경영환경 정보를 제공하는 정치경제위험컨설팅(PERC)도 아시아 12개 나라 가운데 우리나라를 영어 의사소통이 가장 힘든 나라로 지목하고 있다. 연구소는 영어 투자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우선 초·중·고교에서 수학이나 과학 등 일반 과목을 한국어와 영어로 반복 강의하거나 영어 이야기 발표, 영어 연극 등 관련 행사를 늘려야 한다고 조언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