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수능후 입시 전략…복수지원 '소신+안정권' 분할 공략

16일 대학수학능력시험을 끝으로 수험생들이 벌여온 자신과의 싸움은 끝났다. 이제는 수시2학기 전형 참가 여부를 결정하고, 자신의 예상 수능 점수와 학생부 성적 등을 바탕으로 정시모집에 지원할 전략을 수립하는 '다른 차원의 싸움'이라고 할 수 있다.

수능시험을 기대만큼 못 치렀다고 해도 앞으로 전략을 어떻게 수립하느냐에 따라 수능 성적 이상의 대학에 진학할 수 있는 길은 열려 있다. 수험생들은 대학별 전형 방법과 전형 요소별 반영 비율, 자신의 전형 요소별 점수 등을 꼼꼼하게 비교해 자신에게 가장 유리한 선택을 결정해야 한다.

▷수시 지원 여부를 결정하라

수능시험을 치렀다고 정시모집에만 매달릴 필요가 없다. 많은 대학이 수시2학기 원서 접수를 끝냈지만 서강대 학업우수자 특별전형과 이화여대 고교 수학능력 우수자 전형, 중앙대 학업 우수자 전형 등 수능 이후 원서를 접수하는 대학도 적잖기 때문이다. 수험생들은 일단 수능 가채점 결과와 3학년 1학기까지의 학생부 성적 등을 확인해 정시와 수시 가운데 어느 쪽에 치중할지 결정해야 한다.

수능 성적이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면 2학기 수시에 지원할 대학을 찾아보거나 이미 지원한 수시 전형에 적극적으로 대비해야 한다. 수시2학기 원서를 접수했다고 해도 수능시험 예상 점수가 그 이상의 대학에 지원할 정도로 나왔다면 논술이나 면접 등 전형에 참가하지 않아야 한다. 수시모집에 일단 합격하면 반드시 등록해야 하고 정시모집에는 지원할 수 없다. 수능 이후 수시 전형 없이 1단계 합격자를 바로 합격시키는 대학도 있으므로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정시는 복수지원 대학을 신중히 선택하라

수시모집 비중이 50% 가까이 되지만 미충원 대학이 상당수이고, 수능시험 응시자도 계속 줄고 있기 때문에 정시모집에서는 경쟁률이 낮거나 미달되는 학과도 많다. 정시모집에서는 3개 모집군마다 1개 대학씩 3번 복수지원할 수 있으므로 이 기회를 최대한 유리하게 활용하는 것도 중요하다.

일단은 합격 가능성이 높은 대학을 한 곳 선택하는 게 좋다. 내년에는 대학입시 제도가 바뀌기 때문에 재수를 해도 유리할지 불리할지 아직 판단하기 힘들다. 재수를 하더라도 일단은 대학에 합격한 뒤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신 지원을 하는 경우에도 자신의 성적과 터무니없이 차이가 나거나, 불합격을 전제로 대학을 선택하는 것은 좋지 않다.

상위권 학생들의 경우 서울의 주요 대학이 대부분 가군과 나군에 포함되기 때문에 복수지원 기회는 사실상 2번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수능 활용 방법, 학생부 성적 반영 방법, 대학별 고사 등 다양한 전형요소들을 고려해 자신에게 가장 유리한 대학을 선택해야 한다. 대학별 고사 준비에도 최선을 다해야 한다.

중·상위권 또는 중위권 학생들은 수도권 대학이나 지방 대학에 모두 지원할 수 있으므로 복수지원 기회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경우다. 합격 가능성이 높은 대학을 한 곳 정도는 선택해 두고 자신의 성적보다 다소 높은 대학을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학별 고사를 철저히 준비하라

정시에서 논술이나 심층면접, 구술고사 등을 실시하는 대학에 지원할 계획이라면 이에 대해 철저하게 준비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수능시험이 끝났다고 해도 전형까지 남은 기간이 40~50일 정도뿐이기 때문에 숨 돌릴 사이 없이 곧 바로 대학별 고사 준비에 들어가야 한다. 합격선 근처에 있는 수험생들 사이에는 수능이나 학생부 등 여타 전형요소에 거의 차이가 없으므로 대학별 고사 성적에 따라 당락이 바뀔 수 있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논술고사는 반영비율이 3~10% 정도로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등 20여 개 대학에서 실시하는데 대부분 인문계 모집단위에서만 실시하며, 숙명여대는 자연계 모집단위에서도 논술고사를 치른다. 논술 준비는 지망 대학의 시행 계획이나 예시 문항, 기출문제 등을 토대로 직접 글을 써 보는 연습을 많이 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정시모집에서의 면접·구술고사는 서울대, 경북대 등 48개 대학에서 시행하는데 역시 그 영향력을 무시할 수가 없다. 특히 심층면접을 하는 대학에서는 당락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꼼꼼하게 준비해야 한다.

김재경기자 kjk@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