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안 충남 서천에서 동해안 경북 영덕 사이를 잇는 '동서6축 고속도로'의 경북 구간 건설이 可視化(가시화)됐다. 현장 환경성 조사가 실시되고 路線(노선) 주변 주민을 대상으로 한 설명회가 시작되는 등 이번 달 들어 관련 절차가 본격화된 것이다. 전체 노선 중 청주∼상주 구간은 2년 후 개통을 목표로 이미 착공됐으며, 상주∼영덕 사이 110km 구간은 2010년쯤 착공될 예정이라고 했다.
그런 중에 경북'강원'충북 등 3개 道(도)의 지사들이 어제 모임을 갖고 '동서5축 고속도로' 역시 조기 건설토록 요구키로 했다. '6축'의 북편에 위치하면서 서해안 충남 당진과 동해안 경북 울진 사이 260km를 연결토록 구상돼 있는 노선이다. 그 중 서해안 당진과 중부 천안 사이 45km 구간에 대해서는 妥當性(타당성) 조사가 시작됐고, 천안∼오창 31km 구간은 기본설계 중이라고 했다. 이 노선에서도 오창∼울진 사이 184km의 경북 구간이 홀대된 셈이다.
최근 首都圈(수도권) 집값 폭등으로 지방민들의 소외감이 더 심각해지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지만, 나라 전체의 도로 구조도 그동안은 모두 서울 중심으로 돼 있었다. 주요 철로가 남북으로 연결되더니 고속도로까지 그런 형상으로 발전해 서울 集中性(집중성)을 높여 온 것이다. 종전까지 제대로 갖춰진 동서 간 중요 도로래야 남해안고속도가 유일하다시피 했고, 88고속도로는 대구∼포항 고속도가 완공된 근래에야 동서 連結性(연결성)을 완성할 수 있었다. 동서 5축'6축 고속도의 건설에 지역민들이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는 것에는 이런 사정도 있는 것이다.
일본같이 봉건제 역사를 가졌고 지방자치의 역사까지 100년을 넘은 나라에서도 도쿄(東京) 집중 현상은 그치지 않는다고 한다. 지방 분권화에서 더 취약한 우리가 서둘러 지방의 경쟁력을 강화하지 않는다면 앞날은 보다 어두울 수밖에 없을 것이다. 떡이 남으면 그때 가서 나눠주겠다는 식으로 지방을 바라봐서는 문제를 더 악화시킬 뿐이다. 10년도 훨씬 넘게 질질 끌고 있는 東海岸(동해안) 국도 건설에서 내보이는 정부의 태도로는 절대 안 된다. 동서 5축'6축 고속도에 대한 투자를 보다 能動化(능동화)하고, 최근 영남권 상공회의소 회장단이 거듭 요구한 동남권 신공항 건설 문제에도 그 같은 태도로 임해야 할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