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盧武鉉) 대통령과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은 18일 북한의 핵무기 보유를 용납할 수 없으며, 북한이 핵무기를 폐기할 경우 상응하는 조치로 대북 경제지원과 안전보장을 해주기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두 정상은 이어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 가진 3자 정상회담에서도 6자회담의 실질적 진전을 위해 대북 압력·제재만이 아니라 북한이 핵폐기를 하는데 대한 대응조치들을 배합하는 것이 필요하다는데 인식을 같이 한 것으로 전해졌다.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베트남을 방문중인 노 대통령과 부시 대통령은 이날 오전 하노이 시내 호텔에서 정상회담을 열어 대북 현안에 대해 이같은 인식을 공유하고 9.19 공동성명 이행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논의했다고 송민순(宋旻淳) 청와대 안보실장이 전했다.
부시 대통령은 정상회담후 노 대통령과 함께 가진 공동 언론 브리핑에서 "북한이 핵무기와 핵 야망을 포기하면 북한의 안전보장과 경제적 인센티브 제공에 대한 협의에 들어갈 것이라는 것을 북한 지도자들이 알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송 실장은 "한미 양국은 북한이 핵을 폐기하는데 상응하는 어떠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지에 대해 심도있게 의견을 교환했다"며 "특히 양 정상은 대북 경제지원, 안전보장, 그리고 평화체제 문제에 대해 취할 수 있는 상응하는 조치를 협의했고, 그외에 북핵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관련국들과의 협조방안을 놓고 많은 이야기를 나눴다"고 말했다.
그는 "경제적 지원은 지난해 9.19 공동성명에 에너지 지원 등이 포함돼 있고 안전보장 문제도 북한과 미국의 관계정상화, 한반도 평화체제 수립과정에서 당연히 제기될 문제"라며 "그러나 어떤 내용인지 구체적으로 공개하는 것은 시기상조이며 (6자회담) 협상장에서 그런 내용이 토의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 고위당국자는 이와 관련, "북한이 원하는 문제에 대해 우리가 필요한 조치를 취할 준비를 하는 동시에 북한이 핵을 폐기하겠다는 중요한 결단을 행동으로 보여야 한다"며 "행동에 의한 상호실천의지가 교환되어야 하며, 각국은 작은 조치 하나하나에 집착하기보다는 큰 그림에서 결단을 보이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두 정상은 또 북한 핵 문제를 외교적인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의지를 표명하고, 특히 해결의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분명히 하면서 6자회담의 틀에서 참가국들간 양자 대화를 포함해 더욱 활발한 협의를 통해 북핵 문제를 해결해 나가기로 합의했다.
아베 일본 총리까지 참가한 3국 정상회담에서도 "6자회담의 실질적 진전을 위해 기본적으로 압력만이 아니라 북한이 핵폐기를 하는데 대한 대응조치들을 배합하는 것이 필요하다는데 의견을 같이 했다"고 송 실장은 전했다.
한·미·일 3국은 정상 차원에서 합의된 원칙을 바탕으로 내달중 재개되는 6자회담때까지 외교장관급 회담, 6자회담 수석대표 회동 등을 통해 세부적인 '상응 조치'들을 조율하는 한편, 중국의 건설적 역할이 긴요한 만큼 중국과도 폭넓게 조율을 해 나가기로 했다.
이와 함께 한미 정상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 핵실험 이후 국제사회가 북한에 대해 취하고 있는 조치 중에서 그 어느 나라보다도 한국이 취하는 조치가 북한에 가장 많은 부담을 주고 있다는데 인식을 같이 했다.
노 대통령은 언론 브리핑에서 "한국은 대량살상무기 PSI(확산방지구상)에 전면적 참여를 하지 않고는 있지만 PSI의 목적과 원칙을 지지한다"고 강조한뒤 "동북아시아에서 핵확산 방지를 위해 사안별로 협의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고, 부시 대통령은 "PSI에 대한 한국 정부의 지지와 협력에 감사한다"고 말했다.
전시작전통제권, 미군 기지 이전 문제 등 한미동맹 현안과 관련, 두 정상은 기존의 합의사항을 그대로 이행해 나가고, 특히 미국 중간선거후 도널드 럼즈펠드 국방장관의 교체 등 미국내 안보 라인의 변화와 관계없이 기존에 합의된 일정에 맞춰 추진해 나간다는데 합의했다.
의견접근에 난항을 겪고 있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문제는 탄력적인 자세로 합의해 나가자는데 원칙적으로 의견을 같이 했다.
부시 대통령은 이어 미국의 대(對)이라크 정책에 대해 설명했고, 노 대통령은 한국도 자이툰 부대를 파병하고 이라크 등 중동에 많은 관심과 이해관계를 갖고 있는 나라로서 양국이 앞으로 취할 조치에 대해 긴밀히 협의하고 조율해서 구체적 조치를 취해나가겠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한국의 레바논 파병 문제와 관련, 송 실장은 "유엔 PKO 활동에 대한 한국의 적극적인 역할, 의지를 피력하는 차원에서 논의가 있었고, 깊은 이야기는 없었다"며 "PKO 차원의 문제이기 때문에 양 정상이 자세하게 논의할 사항은 아니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