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0년 이후 우리나라와 미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큰 차이가 없지만 제조업 임금 상승 속도는 우리나라가 미국의 3배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통계청 및 노동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등에 따르면 우리나라 제조업 임금지수는 지난 2000년을 100으로 했을 때 지난 6월 말 현재 161.1로 5년6개월동안 61.1% 상승했다.
국내 제조업 임금지수는 2000년 100에서 2001년 106.4, 2002년 119.1, 2003년 129.5, 2004년 142.5, 2005년 153.5 등 빠른 속도로 올라가고 있다.
이런 상승률은 조사대상인 OECD 12개 회원국 중에서 두번째로 높은 것으로 헝가리가 2000년 100을 기준으로 했을 때 지난 6월 현재 180.1로 가장 높았다.
한국 다음으로는 체코(145.1), 폴란드(129.0), 영국(125.1), 스웨덴(120.5), 이탈리아(117.5), 미국(117.2), 네덜란드(115.2), 캐나다(111.9) 등이 뒤를 이었다.
우리나라 제조업 임금 상승 속도가 같은 기간 스웨덴, 이탈리아, 미국, 네덜란드, 캐나다 등의 3배 이상인 셈이다.
지난해 말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헝가리(166.0), 한국(153.5), 체코(135.3), 폴란드(!21.5), 영국(120.1), 스웨덴(115.9), 미국(115.7), 이탈리아(113.5), 네덜란드(113.3), 캐나다(112.7), 대만(106.8), 일본(103.8) 등의 순이었다.
반면, 같은 기간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을 살펴보면 우리나라가 5년6개월간 20.3% 올랐지만 미국 17.8%, 이탈리아 15.2%, 캐나다 14.9%, 네덜란드 14.3% 등으로 큰 차이가 없었다.
LG경제연구원 윤상하 연구원은 "기본적으로 각 국가마다 경제력의 차이가 있어 임금 상승률 속도도 벌어질 수 있지만 소비자물가 상승률 격차에 비해 상대적으로 임금 상승률 격차가 훨씬 더 벌어졌다는 것은 그만큼 우리나라의 제조업 임금이 많이 올랐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