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개발공사 임직원 낙하산 '논란'

경북도의회 도정질문

김관용 경북도지사와 조병인 경북교육청 교육감 등 집행부 간부를 출석시킨 가운데 27일 경북도에 대한 경북도의회의 첫 도정질문에서는 경북도의 산하 기관에 대한 낙하산 인사가 집중거론되며 도마에 올라 공방을 벌였다.

경북도의회 권영만 (봉화) 의원은 "경북도가 100% 출자한 경북개발공사 사장은 경영 마인드를 가진 인사가 임명되어야 함에도 5·31 지방선거에서 경북지사 선거대책본부장을 지낸 한 인사를 임명한 것은 전형적인 낙하산식 코드(code) 인사"라고 주장했다.

권 의원은 이어 "경북개발공사 내부 경영진 역시 상임이사와 팀장급 10명 중 7명이 전직 경북도 공무원 출신이며 나머지 2명도 전직 공무원과 공기업 출신이고 1명만이 사기업 출신으로 경영자들의 인적구성은 전문성과는 거리가 멀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도 산하 지방공기업 인사에 공정성과 적법성,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로 '지방공기업대표 후보 인사청문회'(가칭)을 도입할 것을 제안했다.

이에 대해 김관용 도지사는 "2003년 3월 개정된 지방공기업법에 따라 처음 공개모집에 의해 사장을 선출했다."며 "앞으로 문제점이 있으면 관련 법령개정 등 제도개선을 추진하겠다."고 답변, 당장은 제도개선에 나설 뜻이 없음을 시사했다.

이날 또한 박노욱(봉화) 도의원(봉화)은 "지난해부터 경북도내 수입산 쇠고기의 소비가 160톤을 넘어서고 있는 상황에서 지난 2003년 광우병 발생으로 수입이 금지된 미국산 쇠고기가 지난 9월 수입이 재개되면서 도내 소값하락 등 전국 최대 한육우 사육지인 경북의 축산농가에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다."며 한우 사육농가 보호를 위한 특단의 대책강구를 촉구했다.

박 의원은 아울러 "농촌총각 등의 국제결혼이 증가, 우리 도에서도 다문화 공생을 위해 가족구조, 가치관, 자녀교육, 빈곤실태, 복지수요, 경제적 어려움 등 전반적인 문제점을 파악해 적절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시점"이라며 "경북도의 결혼 이민자 생활실태와 앞으로의 지원방안의 기본방향을 밝혀달라."고 요구했다.

장세헌(포항) 의원은 "고(故) 박정희 전 대통령이 포항시 북구 기계면 문성리를 돌아보고 '이같은 새마을을 만들라.'고 내각에 지시했다."며 "새마을 운동의 발상지라 할 수 있는 이곳을 후세가 기억하도록 기념관을 지을 의향은 없느냐."고 물었다.

정경훈기자 jghun316@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