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에너지클러스터인가?
에너지클러스터란 경주~포항~영덕~울진을 잇는 원전, 태양광, 풍력 등 동해안 에너지산업을 기반으로 포스텍(포항공대) 등 우수한 연구개발 인프라와 양성자가속기, 한국수력원자력,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방폐장) 등 에너지 관련 사업 및 기업을 연계해 미래 국가 첨단에너지산업 집적지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생명과학, 유전공학, 신소재 등 첨단산업과의 연계는 물론 전기전자, 원자력, 물리 등 여러 학문이 종합적으로 관계되므로 관련산업 연관효과가 크다.
지금 경북은 철강, 전기전자 등 기존 산업의 경쟁력 상실에 대비해 10~20년 후를 이끌 성장동력산업 육성이 절실한 시점. 경북도는 방폐장, 한수원, 양성자가속기 등 3대 국책사업 유치를 계기로 첨단 친환경에너지 산업을 새로운 산업으로 육성키로 했다.
여기에는 에너지 환경 변화에 따라 수소 등 신·재생에너지 경제로의 이행과 에너지 저소비형 사회구조로의 전환이 일어나고 있다는 점이 작용했다. 우리나라는 2011년까지 신재생에너지 공급 비중이 지난 해 2.5%에서 5%로 확대된다. 미국의 경우 2010년 7.7%, 일본 7%, EU 12%로 늘어날 전망이다.
◆왜 경북 동해안인가?
국내 최대 원전 집적지, 풍력·태양광 등 풍부한 에너지산업 기반, 포스텍을 비롯한 연구 개발 및 SOC 인프라를 보유했기 때문. 경북은 국내 원전 총생산의 50% 이상과 풍부한 전기공급으로 수소 생산의 최적지로 꼽힌다. 고속도로, 항만, 철도 등 편리한 교통망과 배후연관산업 집적지(포항 울산 구미 등)에 자리잡고 있는 점도 주요 이유다.
3대 국책사업 가운데 핵융합기술, 청정 신·재생에너지 기술, 차세대 원자력 시스템 기술 등 에너지 관련 첨단 기술은 과학기술부가 선정한 21세기 유망기술에 포함돼 있다.
◆추진 사업과 일정은?
▷한수원, 양성자가속기, 방폐장 건설과 연계한 에너지·환경 관련 기업과 연구기관 유치 ▷해양에너지, 원자력, 풍력 등 에너지 기술과 환경·나노기술을 융합하는 첨단 퓨전기술연구소 건립 ▷수소에너지 개발센터 설치 ▷첨단 의료·휴양 복합도시 건립 등이 추진된다. 울릉도 해저에 있는 천연가스하이드레이트도 개발한다. 하이드레이트는 매장량 6억t으로 30년간 사용할 수 있으며 경제적 가치만 1천500억 달러로 추산된다.
경북도는 이를 위해 지난 달 7억 원의 용역비를 들여 경주 포항 영덕 울진 등 4개 시군과 공동으로 '동해안 에너지클러스터 조성 기본계획 수립 용역'을 발주했다. 결과는 내년 11월쯤 나온다.
이를 바탕으로 국가 첨단에너지산업특구 및 에너지기업도시 지정 등 국가에너지정책 중심 사업으로 선정해줄 것을 정부에 건의하고 통일시대에 대비해 북한, 러시아, 일본과 연계한 국제 에너지 공급망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또 울산, 강원 등 동해안 광역단체와 연계한 광역에너지산업클러스터를 추진한다.
이를 위해 국가재정지원 확보에 나서는 한편 특별회계로 설치되는 연간 300억 원 이상의 원자력발전지역개발세를 활용하고 민간투자도 적극 유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최정암기자 jeongam@msnet.co.kr 정욱진기자 penchok@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