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급 스포츠카와 요트 등을 사지 않고 빌려쓰는 풍조가 유럽부자들 사이에서도 차츰 번지고 있다.
금융 전문가인 이탈리아인 미켈레는 그가 좋아하는 스포츠카인 페라리 430을 쉽게 구입할 수 있는 재력을 갖고있지만 클럽에 가입해 필요할 때 빌려 쓴다.
관리의 번거로움을 피하면서 소유하는 것보다 경제적이기 때문이다.
그는 "페라리는 관리를 잘해주어야 한다"면서 "관리인을 따로 둔다 해도 이런 종류의 차를 잘 다룰 줄 아는 사람은 아니기 마련이다"고 말했다.
그가 가입한 클럽의 이름은 '서클 클럽'으로 유럽과 미국에서는 요트나 제트기 등을 구매하지 않고 빌려쓰려는 부자들을 고객으로 확보한 이같은 회원제 클럽이 늘어나고 있다.
서클 클럽은 밀라노에서 문을 연지 1년 남짓 되지만 람보르기니나 마세라티, 포르셰 등 최고급 차를 50대나 보유하고 있다.
런던의 P1인터내셔널이나 샌프란시스코의 클럽 스포티바처럼 서클 클럽도 회원들에게 일정액에 대해 이들 차량을 일정 시간 이용할 수 있는 포인트를 주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이들 클럽은 물론 가입비를 낸 제한된 수의 회원으로 구성되며 기존 회원의 추천을 받는 형식으로 가입한다.
업계 관계자들은 보험이나 관리의 번거로움 없이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 부자들에게 먹혀들고 있다면서 돈 많은 사람들에게 "소유한다는 것이 골치아픈 일이 되고있다"고 말했다.
이같은 풍조에는 당연히 경제적인 고려도 한몫 하고 있다.
P1인터내셔널을 설립한 마이클 브린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1년에 요트를 타는 날이 2주일을 넘지 않는다"면서 이를 위해 "수백만달러 짜리 요트를 1년 내내 놀려두고 감가상각과 관리비를 부담해야하느냐"고 반문했다.
이런 사업 모델은 레저산업에도 번져 미국과 아시아에서는 부유한 사람들이 연회비를 내고 이용하는 호화 리조트가 성업중이다.
유럽에서는 그러나 회원제 클럽이 이 정도로 인기를 끌고 있지는 않다.
로마 소재 마케팅 기획사인 프로파간다 젬의 한 관계자는 전반적으로 유럽은 그 단계 까지 이르지는 못했으며 아직은 소비자들이 경험보다는 소유를 염두에 두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