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이 오는 25일 크리스마스 이전에 새로운 이라크 정책구상을 밝힐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부시 대통령을 보좌하는 백악관과 부시 행정부에 이라크 정책대안을 제시한 '이라크연구그룹(ISG)'은 10일 ISG 보고서 수용 여부를 놓고 대립했다.
ISG을 이끌어온 제임스 베이커 전 국무장관과 리 해밀컨 전 하원의원은 이날 부시 대통령에게 보고서 내용의 전폭적 수용을 촉구한 반면, 백악관 측은 ISG보고서를 '비현실적', '비실용적'이라고 깎아내렸다.
이런 상황에서 부시 대통령이 11일부터 3일간 국무부, 국방부 관계자들을 잇따라 면담하고 새로운 이라크 정책 구상을 가다듬을 예정이어서 부시 대통령의 최종 선택이 주목된다.
베이커, 해밀턴 ISG 공동위원장은 이날 미 방송에 잇따라 출연, 정책대안은 전체적으로 채택돼야 효력을 발휘할 수 있다고 지적한 뒤 미국이 이라크는 물론 중동지역에서 평화와 안보를 확보하기 위해선 이란 및 시리아와 대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해밀턴 위원장은 NBC 인터뷰에서 "바그다드가 평화의 길에 이르게 하기 위해서 미국이 중동지역에서 해야할 일이 많다."면서 미국 정부가 이란·시리아와 대화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베이커 위원장도 NBC에 출연, 최근 부시 대통령이 이란과의 대화조건으로 핵 프로그램 포기를 주장한 데 대해 지난 2001년 탈레반 정권이 붕괴된 뒤 미국 정부가 이란의 지원을 요청했던 사실을 거론하며 이라크 치안확보에 집중하기 위해서 이란의 핵문제를 분리해 접근할 것을 주장했다.
하지만 베이커 위원장도 이란이 이라크 문제를 놓고 미국과 협상할지 여부에 대해선 완전히 낙관하지 못했다.
반면에 ISG 보고서를 검토한 백악관 관계자들은 ISG의 핵심제안 가운데 많은 부분이 비실용적이고 비현실적이라고 결론을 내렸다고 뉴욕타임스(NYT)가 이날 보도했다.
특히 콘돌리자 라이스 국무장관은 ISG의 접근법을 조심스럽게 껴안았으나 국가안보회의(NSC)와 딕 체니 부통령실의 관계자들은 보고서에서 제시한 정책대안의 위험성이 너무 높다고 주장, 채택하기를 꺼렸다고 타임스는 전했다.
타임스에 따르면 백악관의 전략은 ISG 보고서 내용 가운데 이미 수행되고 있거나 기존 정책의 근본변화를 가져오지 않는 일부 권고내용만 채택하고 기존 입장에서의 후퇴를 의미하는 방안들은 거부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예를 들어 백악관 관계자들은 현재 4천 명인 군사자문단을 조속한 시일 내에 1만~2만 명으로 늘리는 것이나 2008년 1/4분기까지 이라크에서 15개 전투여단을 철수시키라는 권고안에 대해 의혹을 제기했다며 채택될 가능성이 적음을 시사했다.
워싱턴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