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정부가 국가균형발전 정책이라는 빌미로 전남과 부산 등지에서 대규모 국책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나 유독 대구·경북지역만 국책사업 대상에서 빠져 '대구·경북지역 낙후'에 따른 불균형이 우려되고 있다.
김성진 해양수산부 장관은 27일 부산항만공사에서 노무현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부산 북항 재개발 종합계획 보고회'를 개최, "부산 북항에 2008년부터 2020년까지 총 9조 6천억 원을 투입, 호주 시드니와 아랍에미레이트연합 두바이 처럼 세계적인 도심형 해상관광지로 개발하겠다."고 보고했다.
김 장관은 "북항 재개발 사업의 대상지역은 북항 1·2·3·4 및 중앙부두 43만 평이며 ▷북항과 연접해 있는 철도부지 활용을 통한 도심연계 방안 ▷재래부두의 재개발에 따른 대체부두의 조기 확보 방안 등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북항 재개발 사업으로 인한 직접적인 효과는 산업유발 32조 원, 고용창출 12만 명으로 추산됐다.
참여정부는 이에 앞서 목포·신안·무안 등지에 22조 원을 투입하는 이른바 '서남권 종합발전 구상'을 밝히는 등 대구·경북 이외 지역에서는 모두 대규모 국책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대구·경북은 또 2007년 산업단지 혁신클러스터 시범단지 추가지정 대상지에서도 제외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정세균 산업자원부 장관은 이날 창원에서 열린 '산업단지 혁신클러스터 사업' 성과보고회에서 "내년에 2천 300억 원의 예산을 R&D중심으로 투입, 산업단지를 미래성장동력으로 본격적으로 육성하겠다."면서 "인천 남동, 전남 대불, 부산 녹산, 충북 오창 산업단지를 혁신클러스터 사업 시범단지로 추가 지정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노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산업단지 혁신클러스터 사업은 기존 산업단지에 R&D 기능을 보완해 미래 성장동력으로 육성하는 것으로 창원(기계), 구미(디지털전자), 울산(자동차), 반월·시화(부품소재), 광주(광산업), 원주(의료기기) 등지에서 추진되고 있다.
대구시와 경북도 관계자들은 이에 대해 "산업단지 혁신클러스터 추가지정에서 대구·경북이 제외돼서는 안된다."며 "지역이 역량을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재왕기자 jwchoi@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