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나라 안에서도 후보검증 '득실 논쟁'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의 최측근으로 당 대선 후보 검증론 불씨를 지핀 유승민(대구 동구 을) 국회의원이 15일 자신의 지역구에서 열린 당원교육에서 이명박 전 서울시장에 대한 후보 검증 필요성을 다시 제기했다.

박 전 대표 측이 이 전 시장과의 전면전 첫 단추로 후보검증 카드를 연일 내미는 이유는 뭘까?

정치권에 따르면 우선 박 캠프 내에서 일단 '이대로는 안된다. 조용히 가다간 힘도 못 써볼 수도 있다.'는 위기의식이 팽배해 있다.

이는 지난 연말 전후 각종 대선 여론조사에서 받은 박 캠프의 충격이 결정적. 박 전 대표가 이 전 시장을 이긴 조사는 한 군데도 없었고, 더욱이 박 전 대표의 최대 지지기반으로 의심치 않았던 대구·경북에서도 이 전 시장에게 '깨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

이같은 여론조사 결과는 대선 승패는 여론의 흐름이 결정적인데다 여론 결과에 따른 대세론이 대선 기간 내내 이 전 시장에게 기울 경우 당의 대선 후보 선출 중요 키를 가진 당원들에게도 상당한 영향을 줄 수 있어서다. 실제 박 캠프는 여론에 다소 밀리더라도 당내에선 이긴다는 확신에 서 있었지만 이젠 이마져도 흔들릴 가능성이 커 '긴급처방전'이 필요한 것. 그 처방전으로 후보검증날을 세운 것이라는 분석이다. 한발 더 나아가 박 캠프에서 직접 검증하겠다는 것.

이와 관련, 박 전 대표의 최측근인 최경환(경산·청도) 국회의원은 최근 사석에서 "지금의 지상전에서 나아가 공중전, 지하전까지 벌이겠다."고 말했다.

박 캠프 측은 "후보검증을 폭로전, 내거티브로 보지 말라. 말 그대로 후보의 자질을 국민들에게 알리고, 평가받자는 좋은 의미로 받아들이면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그러면 박 캠프의 후보검증론이 당의 대선 가도에 약이 될까? 아니면 독일까?

정치권에 따르면 지난 대선의 '우'를 범하지 말고, 몸을 가볍게 해 본선에 가야한다는 당내 여론이 있다. 대권 고지 직전에 '병풍'과 '북풍'이라는 핵폭탄을 맞아 두번이나 대권에 실패한 쓰라진 경험이 그 이유. 시나리오는 이렇다. 당 대선후보를 선출하는 전당대회 전에 미리 후보검증을 하고, 여기서 나오는 후보의 갖가지 약점을 국민들에게 미리 알려 그 평가를 받아야한다는 논리다.

또 다른 이유는 대선에 임박해 후보를 결정할 것으로 점쳐지는 여당 후보와 맞붙었을 때 과거처럼 더 이상의 '빌미'와 '시간적 여유'조차 주어서는 안된다는 것.

반면 지난 대선 때의 병풍의 경우, 당내에서 먼저 거론돼 결국 대선 막판까지가 당 후보가 '낙마'를 결정타를 맞게한 계기가 됐다는 것.

아울러 후보 검증 과정에서 당의 모습이 추해질 수도 있고, 자칫 민심이반으로도 돌변할 수 있다는 논리다.

대구의 한 국회의원은 "국민들은 아직도 한나라당에 순수한 지지를 보내지 않고 있다. 당의 높은 지지는 정부 실정과 여당의 혼란에서 오는 '반사이익'이 크며 언제든 거품으로 꺼질 수 있다."며 후보검증에 따른 당의 이전투구 이미지를 경계했다.

이종규기자 jongku@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