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이나 아이들에게 무료로 중국어를 가르치는 자원봉사를 하고 싶어요."
환갑을 넘겨 다음달 계명대 중국학과를 졸업하는 이판연(62·여) 씨는 벌써 졸업 이후 계획짜기에 바쁘다.
40여 년 만에 두 차례의 검정고시를 거쳐 '배우지 못한 설움'을 이겨낸 만큼 배운 것을 사회봉사에 적극 활용하고픈 생각이다.
가정 형편이 어려워 중간에 학업을 중단했던 이 씨는 지난 2001년 대입 검정고시를 거쳐 2002년 계명대 어문학부 수시모집에 당당히 합격했고, 이제 4년 평점 3.0이라는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을 앞두고 있다.
이 씨는 단순히 '나이가 많다'는 이유의 대접을 싫어해 교수들에게 나이 밝히기를 꺼려 했고, 02학번 동기들에게는 '아줌마'란 호칭 대신 '큰 누님' '큰 언니'로 통하며 세대를 넘어 어울렸다. 대충대충 수업하고 적당히 점수받는다는 평을 안 받기 위해 집과 도서관을 오가며 밤샘공부를 하기 일쑤였다. 결국 3학년을 마친 뒤에는 몸이 아파 1년가량 쉬어야만 했다. 이 씨는 "미리 공부해둔 것을 자꾸 까먹는 바람에 시험을 앞두고 2~3일 동안 '벼락치기'를 하느라 몸살을 앓기도 했다."고 했다.
동기들보다 한문 실력이 낫다고 판단해 2학년 때 중국학과를 택한 이 씨는 지난해에는 중국 베이징 어원대학교에서 6개월 동안 연수를 받았다. 이 씨는 "북한 교수를 비롯해 이탈리아, 인도네시아, 독일 등 각국 유학생들 30여 명이 모인 반에서 '반장'을 맡았다. 중국에서 홀로 시장을 보거나 명승지를 돌아다녀도 지장이 없을 만큼 어학 실력도 늘었다."고 했다.
이 씨는 부전공으로 문예창작학과 26학점도 이수했다. 이 씨는 "컴퓨터 자판을 두드리는 속도를 제대로 따라가지 못하는 바람에 워드프로세서나 인터넷 교양과목 점수가 낮아 평점을 까먹은 게 속상했다."고 아쉬워했다.
"대학 생활을 하면서 '시간이 너무 아깝다.'는 생각을 많이 했다."는 대학 예비졸업생 이 씨에게서 만학도의 뜨거운 열정이 엿보였다.
김병구기자 kbg@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