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李·朴 이번엔 '경선 논란'

李 작년 "미루자"→지금 "6월까지" 朴 지지율 밀리자 "연기

한나라당의 대선주자들이 후보 검증론에 이어 경선의 시기와 방식을 둘러싸고도 팽팽히 맞서고 있다.

대립 양상을 보이는 것 자체는 지난 해와 마찬가지이나, 특히 이명박 전 서울시장과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의 경우 여론지지도의 역전 때문인듯 입장도 뒤바뀌고 있다는 점이 다르다. 이같은 입장변화 역시 연초만 해도 측근들 쪽에서 감지됐으나, 이제는 두 사람이 직접 언급하기 시작했다. 후보 경선을 앞두고 그만큼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당 안팎에서는 양대 쟁점들인 경선의 시기와 방식을 놓고 타협하는 '빅딜' 가능성도 제기돼 왔으나 대선주자들이 측근들보다 더 강경한 입장을 보임에 따라 그 가능성은 낮아지고 있으며 분당(分黨)우려 목소리까지 들리고 있다.

이 전 시장은 22일 불교방송에 출연, "(경선시기에 대해) 원칙은 6월 전에 하도록 돼 있고, 후보들이 다 동의하고 있어 큰 어려움은 없다고 본다."고 말함으로써 당헌·당규대로 6월까지 경선을 치러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그러나 박 전 대표에게 여론 지지도에서 밀리고 있던 지난 해 6월엔 "선출시기가 너무 이르다. 당헌·당규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등 경선 연기론을 주장했었다.

또한 이 전 시장이 여론조사상 선두였던 지난 연말에는 측근들이 경선 선거인단에 일반 국민들의 참여 폭을 확대할 경우, 경선시기를 늦출 수 있다는 신축적인 입장을 보임에 따라 빅딜설이 나돌았으나 이 전 시장의 22일 발언으로 타협 가능성은 낮아졌다.

결국 경선시기는 당헌·당규대로 하고, 방식만 일반 국민들을 더욱 많이 참여시키는 쪽으로 변경하자는 게 이 전 시장 측 입장인 셈이다.

박 전 대표도 22일 기자 간담회에서 경선 연기문제와 관련, "충분히 공감을 얻을 수 있고 동의할 수 있는 명분이 있다면 달리 생각해 볼 수도 있다."고 말해 당헌·당규대로 치러야 한다던 종전보다 신축적이었다.

경선 방식에 대해서는 측근인 유승민 의원이 선거인단 전체 규모를 확대할 용의가 있음을 피력했음에도 박 전 대표는 현행 방식을 고수할 뜻을 거듭 피력하는 등 완강하다.

또 다른 대선주자들인 손학규 전 경기지사와 원희룡 의원도 이 전 시장 및 박 전 대표와 달리, 경선의 시기를 연기하는 동시에 방식도 완전국민경선제(오픈프라이머리) 취지를 살리는 쪽으로 수정해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하고 있다.

서봉대기자jinyoo@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