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양해서 손해 보느냐, 기다리며 손해를 보니냐 정말 고민입니다.'
올해 분양을 앞둔 건설사들의 고민이 깊어가고 있다. 분양가 상한제를 골자로 한 '1.11' 대책 발표 이후 가격 하락에 대한 기대심리로 부동산 시장에 냉기가 돌면서 적절한 분양 시점을 잡지 못하고 있는 탓이다.
올해 대구 지역에서 예정된 신규 분양 물량은 3만 5천 가구로 계획대로라면 내달부터 3-5개 단지씩 분양에 들어가야 한다.
그러나 건설사들은 분양 원가 공개와 상한제 시행 시기인 9월 이전에 분양을 한다는 계획은 잡고 있지만 당초 3월 이전 분양 계획을 세우고 있던 업체들까지 구체적 일정을 잡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문제는 실수요자들에게 다가설 수 있는 마땅한 분양 전략이 없기 때문.
지역 A업체 한 임원은 "정부 발표로 소비자들은 분양가격이 내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는데 마땅히 내놓을 카드가 없다."며 "분양 가격 거품이 일부 있는 수도권은 가격 조정이 가능하지만 현재도 정부 표준 건설비보다 낮춰 분양하고 있는 지방 시장에서는 솔직히 방안이 없는 상태"라며 당혹감을 내비쳤다.
실제 지난해부터 미분양이 증가하면서 중도금 무이자와 계약금 인하, 발코니 무료 확장 등의 조건을 모두 내걸었던 업체들 입장에서는 추가 카드가 없는 상황이다.
B업체의 한 임원은 "지난해 분양한 단지 중 일부는 추가 조건 변경과 계약률 저조에 따른 금융 비용 증가 등으로 이미 적자 사업장이 된 곳도 있다."며 "이미 부지를 매입한 상태에서 분양가를 내릴 수 있는 방법은 적자 사업을 하는 것 외에는 없는 실정"이라고 했다.
한편, 일부 업체들은 정부가 지방 건설시장에 대한 활성화 대책을 상반기 중에 내놓을 것으로 기대하며 분양 일정을 미루고 있다.
대구시를 비롯 지방자치단체들이 잇따라 정부에 투기지역 해제를 요청하고 있는데다 건설협회 등 관련 단체에서도 고사 위기에 처한 지방 시장에 대한 수도권과 차별화된 정책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역 주택업체 관계자들은 "분양원가 공개나 상한제는 시행에 들어가도 지방 분양 시장에서는 정부가 저렴한 공공택지를 공급하지 않는 이상 '값내린 아파트 등장'이 어렵다."며 "지방 주택 시장은 오히려 세금 인하 등의 건설 시장 활성화 조치가 필요한 상태"라고 주장했다.
이재협기자 ljh2000@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