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내집 마련 임대 아파트 노려보세요"

올해 지역 공공·주공임대 계획

'공공 임대 청약해볼까'

올해부터 공공 임대 아파트가 본격적으로 공급된다.

몇 년간 이어진 분양가 고공행진에 중대형 평형 위주의 민간 공급으로 인한 중소형 평형대 전세난 등을 감안하면 내집마련을 기다려왔던 서민층들에게는 더 없이 좋은 기회가 다가온 셈이다.

올해 대구 지역에서 분양되는 공공임대 주택은 3천여 가구 규모며 내년부터는 정부의 공공임대 확대 정책 등으로 신규 공급 물량이 계속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주택공사 관계자는 "앞으로 공급되는 국민임대 아파트는 30년 장기 임대 방식으로 주거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며 "현재는 20평형대 위주로 공급되고 있지만 향후에는 정부 정책에 따라 중대형 평형 공급 물량도 점차 늘어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공급 방식 및 물량

저소득층을 위한 영구 임대 아파트를 제외한 공공임대 아파트는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공급된다.

도시개발공사에서 분양하는 공공임대는 5년 임대 뒤 일반 분양으로 전환되며 주택공사 임대 아파트는 일반 분양 없이 30년 장기 임대 방식으로 공급된다. 현재 대구 지역에 공급된 공공임대 아파트는 8개 단지가 있으며 입지별로 차이가 있지만 경우에 따라 1년 정도 대기해야 입주가 가능할 정도로 인기가 높다.

도시개발공사 관계자는 "지하철 역세권이나 버스 노선이 편리한 지역의 임대 아파트는 항상 대기자들로 넘쳐나 예비 후보자 선발을 중단할 정도"라며 "월 임대료가 시중 전세 가격의 70-80% 수준으로 저렴한데다 도개공 임대 아파트는 일반 분양을 받을 수 있어 인기가 높다."고 밝혔다.

올해 대구에서 공급되는 임대 아파트는 15평에서 29평형대의 소형 평형으로만 구성돼 있으며 30평형대 이상 중대형 평형은 내년 이후에나 본격 공급될 것으로 보인다.

공급 지역은 대구의 경우 달성군 죽곡 택지지구와 북구 매천 지구, 중구 남산동, 동구 신천동 등이며 경북은 안동과 구미 칠곡 지역 등지에서 분양될 예정으로 전체 공급 가구수는 6천 가구 정도에 이른다.

부동산 114 이진우 지사장은 "올해 공급되는 공공임대 아파트 입지가 상대적으로 좋은 곳이 많다."며 "초기 입주자 모집 때 입주자격을 얻기가 쉬운 만큼 결혼을 앞둔 예비 신혼 부부나 내집마련 기회를 잡지 못한 서민들이라면 올해 공급 단지를 기다려 볼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한편, 구체적인 공급 일정은 없지만 정부의 임대 주택 100만 호 건립 계획과 함께 북구 연경 지구와 동구 신서 지구 등 택지 예정 지구들이 올해부터 본격 조성 공사에 들어갈 예정으로 있어 내년부터는 공공임대 물량이 대폭 증가할 전망이다.

▷청약 조건 및 임대료

임대 아파트 입주자 자격 조건은 평형별로 차이가 있지만 무주택자로 연평균 소득이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 이하로 청약 통장을 갖고 있어야 유리한 조건을 얻을 수 있다. 2005년 도시근로자 가구 월평균 소득 325만 원 정도며 4인 이상인 세대는 4인 가구 월평균 소득(356만 원)을 적용받게 된다.

이중 전용면적 50㎡ 미만(19평형 이하) 임대 아파트는 자격 조건이 월평균 소득이 가구당 월 평균 소득의 70% 이하로 제한돼 있으며 단독 세대주는 전용 면적 기준 40㎡ 이하(15평)인 주택에만 입주가 가능하다.

임대 보증금은 단지 입지별로 차이가 있지만 기존 임대 단지를 보증금은 15평형대는 1천500만 원 전후, 25평형은 2천500만 원 정도로 평당 100만 원 정도로 주변 일반 아파트 전세와 비교하면 상당히 저렴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올들어 분양되는 공공임대 아파트는 입지에 따라 20평형대 보증금이 3천만 원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주공 관계자는 "20평형대 기준으로 볼 때 임대료는 입주 시기와 단지 위치 등에 따라 10만 원에서 20만 원 정도로 입주민들의 부담을 덜기 위해 공공 임대 산정 기준보다 훨씬 낮은 가격으로 임대료를 받고 있다."며 "공공임대는 착공 이후 입주가 1년 6개월 정도 남은 시점에서 임대 분양을 하고 있어 입주 시기가 상대적으로 빠른 장점도 갖고 있다."고 밝혔다.

이재협기자 ljh2000@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