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정부의 양극화 해소책에도 불구하고 상.하위간 소득 격차는 3년 연속 벌어져 소득 양극화가 더욱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6일 발표한 '2006년 가계수지동향'에 따르면 전국 상위 20%의 소득(634만1000원)을 하위 20% 소득(82만9000원)으로 나눈 소득 5분위 배율이 지난해 7.64로 통계 작성 이후 최대를 기록했다. 전국 가구의 소득 5분위 배율은 2003년 7.23, 2004년 7.35, 2005년 7.56 등으로 계속 상승하고 있다.
소득 불평등 정도를 보여주는 또다른 지표인 지니계수도 지난해 0.351을 기록, 통계작성이후 가장 높았다. 지니계수는 2003년 0.341, 2004년 0.344, 2005년 0.348등으로 지속적으로 올라가고 있다.
통계청은 "경제의 어려운 부분을 자영업자와 영세사업자들이 더 많이 느끼면서 전국가구의 소득격차가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전국 가구의 조세 증가율도 14.1%를 기록, 전년보다 3.3% 늘어나는 등 통계작성 이후 역시 가장 컸다. 가구당 월평균 조세지출 규모는 2005년 7만6300원에서 지난해 8만7100원으로 증가했다.
덩달아서 조세, 공적연금, 사회보험 등을 포함하는 비소비지출 규모도 지난해와 지난해 4분기 각각 월평균 39만6000원과 39만7000원으로 조사돼 전년보다 각각 10.2%와 14.2% 늘어났다. 이 역시 2004년 15.3%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반면 지난해 전국의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306만9천원으로 전년에 비해 5.1% 증가해 연간 기준으로는 처음으로 300만원을 돌파했다. 4분기 월평균 소득은 316만8000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7.7% 늘어났다.
전국 가구의 지난해 월평균 소득증가율은 2004년 6.0% 이후, 4분기 소득증가율은 분기 기준으로 2003년 전국 가구의 가계수지 통계가 작성된 이후 가장 높았다.
소비자물가 상승률 등을 감안한 실질소득 증가율도 전년도(1.3%)보다 높은 2.8%에 달했다.
이로 인해 전국 가구의 지난해 및 4분기 월평균 소비지출은 212만원과 218만3000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각각 4.2%와 7.6% 늘었다.
이상곤기자 leesk@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