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국채보상운동 100년 다시보기] ③전국으로 번진 국민운동

국채보상운동은 대구에서 시작돼 전국적으로 확산된 국민운동이다. 대구군민대회가 열린 다음날인 1907년 2월 22일 서울에서 김성희, 유문상, 오영근 등은 '국채보상기성회'를 설립했다. 국채보상기성회는 취지서와 회칙을 발표하는 등 격식을 갖추면서 전국 각 지방으로 급속하게 번진 국채보상운동의 총괄기구 역할을 했다. 회칙은 ▷본회는 일본에 대한 국채 1천300만 원을 보상함을 목적으로 한다 ▷보상 방법은 국민 의연금을 모집한다(단 금액은 다소에 구애받지 않는다) ▷본회에 의연금을 받치는 사람은 본회 회원으로 인정하고 씨명과 금액을 신문에 게재한다 ▷본회와 목적을 같이 하는 각 단회는 서로 연합하여 목적을 달성하는데 힘쓰기로 한다 ▷의연금은 수합하여 위의 액수에 달하기까지 신용있는 본국 은행에 임치한다(단 수합금액은 매월 신문을 통하여 알린다) ▷본회는 목적을 달성한 후 해산한다는 등의 내용으로 구성됐다.

국채보상기성회는 의연금수전소로 야뢰보관 임시사무소, 김상만의 광학서포, 유한모의 조동 건재약국, 대한매일신보사, 상동 청년학원, 고유상의 서포, 주한영의 서포 등 7개소를 지정했다.

또 서병염, 윤흥섭, 박규순 등 59명은 '국채보상포고문'을 발표하고 '국채보상중앙의무사'를 설립했다. 이곳의 의연금수전소는 황성신문사였다.

지방 각지에서도 국채보상회가 설립되면서 취지서가 발표되는 등 분위기가 고조됐다. 당시 국채보상소가 설립된 곳은 전남(제주도 포함) 18개소, 경기 15개소, 충남 20개소 등이었다. 다른 지방도 이와 비슷한 양상이었다

1907년 4월에는 국채보상운동을 지도·총괄하기 위한 통합기구로 '국채보상지원금총합소'와 '국채보상연합회의소'가 조직됐고 보상금 실태 조사를 위한 '국채보상조사회', 이를 검사하기 위한 '국채보상검사소'도 설립됐다.

국채보상운동에는 고관이나 양반·부유층은 물론 노동자·농민·부녀자로부터 상인·군인·학생·기생·승려 등에 이르기까지 참여하지 않은 계층이 없었다. 유아나 초등학교 학생들도 자신들 용돈을 의연하기에 이르렀다. 일본 유학생들과 미주의 교포들도 의연금을 보내왔다. 국내 거주 외국인들도 일부 참여했다. 어느 서양인은 "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볼 수 없는 일"이라고 감탄하면서 4원을, 평남 영유군 이화학교 일인교사 정유호빈(正柳好彬)은 2원을 의연금으로 냈다.

국채보상운동이 전국적으로 빠른 시간에 전개될 수 있었던 것은 언론의 힘이 컸다. 대한매일신보, 황성신문, 제국신문, 만세보 등은 2월 대구광문사에서 국채보상을 결의한 사실을 대대적으로 보도한 이래 운동 확산에 진력했다. 황성신문은 1907년 2월 25일 '단연보국채'라는 논설을 통해 국채보상을 국민의 의무사항으로 규정했고 제국신문은 3월 1일 '국채보상금 모집에 관한 사정'이라는 논설에서 국채보상을 정부를 위함이 아니라 국민을 위한 운동임을 선언했다. 각 신문사는 사내에 국채보상 모금처를 설치하고 전국민적인 참여를 촉구하는 한편 각지에 조직된 기성회 취지서와 의연금납부자 명단을 게재하는 등 적극적인 홍보에 나섰다. 또한 국채보상운동 선전을 목적으로 '야뢰', '대동보' 등의 잡지가 발간되기도 했다.

김교성기자 kgs@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