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기후 변화 대응 체제는 갖추고 있는가

이번 겨울이 무척 포근하다 싶더니 이달 들어서는 기온이 더 솟구쳐 벌써 봄철로 접어든 양 착각될 지경이다. 탓에 울릉도는 눈 축제마저 포기해야 했으니, 올 겨울 스키장 문을 열지 못한 알프스 산록 이야기가 남의 것만이 아니게 된 형국이다. 雪國(설국)이란 말로 연상되곤 하던 일본 북부지역마저 강설량이 예년의 3%에 그쳐 눈 축제들이 취소됐다고도 했다. 이상 暖冬(난동)이 아시아권 공통의 광범한 현상이라니 느낌이 더 안 좋은 것이다. 어제 낮엔 국내 기온이 곳에 따라 20℃마저 넘어섰다는 뉴스도 있었다.

우리나라 기후가 亞熱帶(아열대)형으로 변할 가능성은 벌써 몇 년 전부터 주목돼 온 것이지만, 올 겨울의 징후에는 그보다 훨씬 심각한 무엇을 떠올리게 하는 측면이 있다. 지구 온난화 재앙의 현실화가 그것이다. 불과 몇 도 차이로 氷河期(빙하기)와 間氷期(간빙기)가 갈라졌었다는 주장으로 미뤄 볼 때 이만한 기후 변화는 세상 모든 것을 뒤바꿔 놓을지 모르기 때문이다. 중국의 黃砂(황사) 진원지 일대 가뭄이 더 극심해졌고, 호주의 광범한 지역에 비가 내리지 않아 하수를 식수로 재공급하기로 했다는 등등의 뉴스가 불길한 느낌을 부추기기도 한다.

물론 지구 온난화를 충분히 해소하거나 높아지는 기온을 낮춰 낼 능력은 우리에게 없다. 하지만 그로 인해 우리나라에 닥칠 자연 환경의 변화를 예견하고 대처하는 일은 우리 자신이 아니면 어느 누구도 해 줄 수 없는 일이다. 이번 겨울 날씨가 지금 우리에게 일깨우려는 게 그것일지 모르겠다. 올 연말의 대통령 선거나 그에 이어질 국회의원 선거 따위와는 비교할 수 없이 중요한 그 사안 말이다. 정치판이 눈과 귀를 어지럽힐수록 국민들이 더 정신 차려 지켜봐야 할 게 바로 이런 일일 터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