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왜란 때 전라도관찰사 권율이 행주산성에서 일본군을 크게 무찌른 행주대첩이 1593년 일어났다. 권율은 1592년 임진왜란 초 광주목사로 있으면서 공을 세워 전라도관찰사 겸 순찰사가 되었다. 그 뒤 명나라의 군사와 합세하여 서울을 수복하려고 군사를 이끌고 수원성에 머물다가 1593년 2월 1만여 병력을 행주산성에 집결시켰다. 이들은 활·칼·창 외에 화차·수차석포 등 특수무기를 만들고 왜군의 조총에 대비하여 토제를 쌓고 재가 들어 있는 주머니를 허리에 차고서 적의 침공에 대비했다.
한편 일본군은 평양싸움에서 크게 패한 후 총퇴각하여 서울에 집결해 3만여 명의 대규모 병력으로 내습, 여러 겹으로 성을 포위하고 9차례에 결쳐 종일토록 맹공격해왔다. 이에 권율은 갖은 방법을 동원하여 왜군과 맞선 치열한 싸움으로 무기가 차츰 소멸되자 부녀자들이 긴 치마를 잘라서 짧게 만들어 입고 돌을 날라서 투석전으로 적에게 큰 피해를 입혔는데 여기에서 '행주치마'라는 명칭이 생겨났다고 한다. 이 싸움 이후 권율은 도원수가 되었으며 일본군은 다시 서울 이북에 출병하지 않고 철수를 서둘렀다. 행주산성의 전투는 진주대첩·한산도대첩과 함께 임진왜란 3대첩의 하나이다.
▲1809년 영국 생물학자 찰스 다윈 출생 ▲1947년 전국 문화단체총연합회 발족
정보관리부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