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문화수도론, 부산 산업수도론에 맞서 대구·경북을 '교육특별자치도'(교육특구)로 조성해 지식혁신수도로 만들자는 제안이 제기됐다.
우동기 영남대 총장은 14일 "지역의 비교우위 자원은 지식·인적자원이고, 정보화와 지식산업 구축만이 지역의 난관을 극복하는 길"이라며 교육도시, 지식혁신도시가 되기 위한 전제로 '대구·경북 교육특별자치도'를 제안했다.
우 총장은 이날 대구 그랜드호텔에서 열린 '대구경북연구원 제100회 콜로키움'에서 "인천 송도 경제특구, 창녕군 외국어교육특구 등 지역별, 광역권별로 특화한 발전정책을 표방하고 있는 상황에서 지역 발전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대구·경북 경제통합보다 더 시급하고 손쉬운 지식생산특구의 지정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제안했다. 이어 "지역 혁신과 미래비전 설정을 위해 지역 각계가 '교육특별자치도'에 합의한다면 대구·경북은 지식산업도시로 거듭날 수 있고 미래도 밝다."고 덧붙였다.
우 총장은 지식생산특구 지정과 연계한 교육특별자치도의 기반으로 ▷지식의 생산 유통과정에서 정부의 각종 규제 해제 ▷국제적 기준에 맞는 교육시스템 혁신 ▷두뇌집단과 기업, 공공기관 간 지식과 정보를 연결하고 지식상품을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형성 ▷과감한 투자와 지역민의 애정 등을 꼽았다.
우 총장은 특히 대구·경북지역을 교육특별자치도로 지정해 각종 규제를 풀어주는 것이 핵심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대학총장들이 본 대구·경북의 미래'를 주제로 열린 세미나에서 노동일 경북대 총장은 "대구 건강산업도시는 원론은 맞지만 각론이 없고, 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DGIST)은 감동을 주고 명분이 있는 사업이 없다."고 비판했다. 이어 "지역이 '연구개발(R&D) 허브'가 돼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영남권 신공항과 대형 핵심프로젝트 등이 DGIST와 동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세미나에는 경북대·영남대 총장을 비롯해 김종호 상주대 총장, 여박동 계명대 부총장, 정수철 대구대 부총장, 박정한 대구가톨릭대 의과대학장 등이 주제발표를 했다.
김병구기자 kbg@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