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안과 전문의인 맥쿨 박사는 최근 세계에서 가장 많이 보는 안과잡지인 '아이 월드'(Eye World)에 '레스토 인공수정체'를 이용해 백내장 수술을 받은 환자 가운데 90% 이상이 안경 없이 생활이 가능하다는 내용의 글을 실었다. 이 방법은 근거리와 원거리를 동시에 볼 수 있게 하는 노안교정 백내장 수술로서 최근 국내에도 도입됐다.
백내장은 나이가 들어 수정체에 혼탁이 오는 질환. 안과학계에서는 백내장 환자에게 인공수정체를 끼우면서 동시에 노안까지 개선할 수 있는 인공수정체 연구가 활발하게 이뤄져 왔다.
그동안 사용된 노안교정과 백내장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것으로는 다초점 인공수정체와 조절가능형 인공수정체가 있다. 하지만 이들은 만족할 만한 근거리 시력이 나오지 않거나 동공의 크기가 커져 야간에 빛 번짐 현상, 달무리 증상이 나타나는 부작용이 종종 일어났다.
새로 개발된 인공수정체는 기존의 다초점 인공수정체와 재질이나 원리가 전혀 다르다. 기존 제품은 실리콘으로 만들어졌지만 새 제품은 아크릴레이트라는 연성 재질이다. 또 기존 다초점 인공수정체는 렌즈에 여러 개의 초점을 만들어 노안용 안경의 누진 다초점 렌즈 원리를 인공수정체에 적용한 것으로, 보는 눈의 위치에 따라 근거리와 원거리를 볼 수 있게 했다. 그러나 새 인공수정체의 표면엔 미세한 원이 계단식으로 깎여 있다. 계단의 높이는 머리카락 두께의 50분의 1에서 300분의 1정도로 낮아 이곳에서 빛이 두 가닥으로 꺾이면서 근거리와 원거리를 볼 수 있게 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발표한 임상성적에 따르면 80% 이상의 환자가 수술 뒤 안경을 쓰지 않고 일상생활을 하고 있으며 수술받은 백내장 환자의 94%가 앞으로 다시 백내장 수술을 받을 경우 새로운 인공수정체를 선호하겠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이 인공수정체는 안과 질환이 있거나 심한 근시, 난시가 있는 사람에겐 적절하지 않다. 또 눈부심, 빛 번짐 현상이 줄긴 했지만 간혹 나타나기 때문에 야간 운전을 자주하는 사람은 신중히 고려해야 한다.
김교영기자
도움말·조희태 난초꽃피다안과 원장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