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티는 찰스와 밀애 중이다. 그러나 누군가 엿보고 있다. 누구였을까? 남편 월터였을까? 1920년대 영국 식민 통치 하의 홍콩. 영국인 세균학자 월터의 아내 키티는 홍콩 총독부 차관보 찰스와 부적절한 관계를 맺고 있다. 키티는 가족 위에 군림하며 모든 것을 좌지우지하던 어머니의 강압에서 벗어나기 위해 도피하듯 월터와 결혼했다. 결국 진실하지만 사랑에 서툰 남편 월터를 두고, 바람둥이 매력남 찰스와 불륜에 빠졌다.
불안하고 어정쩡한 며칠이 지난 후 남편 월터는 키티에게 자신이 모든 걸 알고 있음을 선언한다. 그리고 콜레라가 창궐하는 중국의 오지 마을로 함께 갈 것을 요구한다. 만약 키티가 따라오지 않는다면 간통죄로 고소하겠다고 말한다.
키티는 사랑하는 찰스에게 달려가지만, 찰스는 냉랭하다. 오히려 그녀가 남편을 따라 중국으로 떠나주기를 은근히 바란다. 키티는 어쩔 수 없이 남편을 따라 전염병이 도는 절망의 중국 본토로 들어간다. 낯선 땅, 코 앞에 도사린 죽음과 광활한 자연을 마주하면서 예상외로 키티는 상처에서 벗어난다. 과거가 한낱 흐르는 강물과 같았음을 알게된다. 그리고 더 이상 찰스에 대해 생각하지도 않았다.
하지만 남편 월터는 전염병 퇴치에만 매달릴 뿐 키티에게 마음을 열지 않는다. 어느 날 키티는 남편 월터가 콜레라에 걸려 죽어가고 있다는 연락을 받고 달려간다. 월터는 키티에게 '죽은 건 개였다.'는 수수께끼 같은 말을 남기고 죽는다. 게다가 월터가 환자들에게서 병을 얻은 것이 아니라 자신에게 세균 실험을 하다가 감염되었을지 모른다는 이야기를 듣고 충격에 빠진다. 월터의 죽음이 자살일지 모른다는 것이다.
월터는 끝내 아내를 용서하지 못하고 사랑의 상처를 극복하지 못했다. 반면 키티는 오지마을에서 만난 자연의 풍경에 종교적 위안과 같은 느낌을 받고 애욕으로 상처 입은 마음에 위로를 받았다.
남편의 장례식을 치르고 홍콩으로 돌아온 키티는 우여곡절 끝에 다시 찰스를 만나게 된다. 그리고 다시 애증의 소용돌이에 휘말린다. 꺼진 줄 알았던 애욕의 불씨가 되살아났던 것이다. 키티는 또 다시 자괴감과 충격에 빠지고 자기경멸에 휩싸인다. 물론 이렇게 결말 맺는 것은 아니다. 작가는 이 소설을 통해 사랑의 속성과 용서와 희망에 대해 낮은 목소리로 말하고 있다. 한 인간의 절망과 희망, 소용돌이와 헤어남, 빠져나오기와 빠져들기…. 토마스 하디의 '테스'와 비슷한 분위기를 풍기는데 세상과 사람을 보는 시각은 다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