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홀대받는 2·28 운동"…기념사업회 이행 촉구

기념사업 지원 약속 국고보조금 절반만 배정 7년째 '질질'

4.19 민주화운동의 도화선이 됐던 대구 2·28 학생 민주화 운동이 28일 47주년을 맞는 가운데 홀대받는 '2·28 운동'에 정부의 지원을 요구하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다른 지역의 민주화 운동이 정부의 폭넓은 지원을 받은 반면 대구 2·28 운동은 당초 정부가 약속했던 국고 보조금마저 7년째 모두 다 받지 못하고 있기 때문. 이에 따라 50주년 특별 사업으로 2·28 도서관 건립을 추진하는 2·28 대구 민주운동기념사업회는 나머지 국고 보조금을 포함한 정부 지원을 촉구하고 나섰다.

지난 2000년 2·28 운동 40주년을 맞아 대구를 방문한 김대중 전 대통령은 "대구 2·28 기념공원 조성에 200억 원의 국고보조금을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7년이 지난 현재까지 정부의 지원은 공원 조성 당시 115억 원에 멈춰있다. 박명철 2·28 대구 민주운동기념사업회 사무총장은 "김대중 정부와 참여 정부에 나머지 보조금 지원을 여러 번 타진했지만 모두 외면당했다."며 "다음 정부에도 국고보조금을 재차 요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사실 2.28 민주운동은 다른 지역의 민주운동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평가돼 왔다. 서울 4·19 기념 사업에 600억 원, 마산 3·15 의거 기념사업에 300억 원의 국고가 지원됐지만 3·15, 4·19의 도화선으로 인정받는 2·28은 마산의 절반조차 지원받지 못한 것. 이에 따라 2·28 기념사업회는 다음 정부가 대구 민주운동의 가치를 인정해 나머지 국고나 추가 사업비를 지원하도록 요구하고, 기념관과 역사관이 함께 들어서는 도서관을 건립할 계획이다. 2·28 기념관은 이미 10년 전부터 논의돼 왔지만 부지 및 사업비 문제로 계속 미뤄져 왔다.

류진춘 기념사업회 의장은 "정부가 대구 민주운동을 이대로 계속 외면해선 안 된다."며 "대구의 민족, 민주 정신을 계승 발전시키는데 대구의 모든 시민·단체들과 함께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상준기자 all4you@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