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나라 "어렵다 경선"…후보 마다 시기·방식 제각각

한나라당이 대선 후보 경선 시기와 방법을 두고 진통을 겪고 있다.

한나라당 경선준비위원회는 당초 6월로 된 경선 시기를 늦추고 당원과 국민의 참여 폭을 넓힌다는 쪽으로 큰 방향을 잡았다. 이 과정에서 7월 또는 9월 경선이 유력했고 참여 폭은 10만~20만 명이 유력한 대안으로 나오며 본격적인 절충점을 찾는 분위기였다.

하지만 박근혜 전 대표가 경선 룰을 현행 방식으로 할 것을 밝히면서 이명박 전 서울시장과 손학규 전 경기지사가 각각 다른 안을 제시, 진통이 빚어지고 있다.

박 대표는 26일 기자간담회에서 "(9월로 연기하는 것은) 원칙에 안 맞는다."며 경선시기 및 방식 모두 현행방식 고수입장을 밝혔다. 이는 그간'시기는 여당 후보가 나오는 9월쯤에 실시하더라도 방법은 당심과 민심비율이 각각 절반씩인 현행대로 한다.'는 입장에서 바뀐 것으로 시기를 포기하더라도 방식은 양보할 수 없다는 입장으로 선회한 것.

박 전 대표 측 경준위 대리인인 김재원 의원은 "후보들 사이에 이해관계에 따라 너무 많은 얘기들이 나오고 있다."며 "참여 폭이 넓다고 해서 더욱 정확하다고는 볼 수 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이 전 서울시장 측은"6월 경선은 일관되게 주장해 온 것"이라며 환영한다는 입장이지만 경선 방식을 두고는 국민참여 폭을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을 고수하고 있다.

경준위 대리인인 박형준 의원은"경준위 15명 가운데 14명이 국민 참여폭을 넓히자는 데 동의한다."며 "국민 참여 폭 확대가 시대정신에 맞고 국민들의 관심과 참여도를 높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는 현재 당심에서는 박 전 대표보다 우위를 선점하지 못한다는 현실을 고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손 전 지사는 경선참여 불참 가능성을 시시하면 경선룰의 대폭수정을 주장하고 있다. 손 전 지사는 26일"본선에서 이길 사람을 뽑자는 차원에서 특정 후보를 위해 (다른 후보를) 들러리 세우는 경선 룰과 절차는 받아들일 수 없다."며 "이대로 (경선구도가) 간다면 내가 뭐하러 이런 것을 하고 있겠느냐."며 불만을 털어놓았다.

경준위 대리인인 정문헌 의원은 "후보들이 깨끗하게 승복할 수 있는 시기와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며 "현행 당헌·당규대로 간다면 경준위를 만들 이유가 없었다."고 박 전 대표 측을 비난했다.

이창환기자 lc156@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