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2·28일이다. 1960년 대구학생민주운동이 터져 올랐던 바로 그날. 100년 전 2'21에 대구 군민들이 국채보상운동을 선포함으로써 光復(광복) 운동에 민중적 동참의 典例(전례)를 만들었듯, 47년 전 오늘 대구의 피 끓는 학도들이 민주화 운동에 범시민적 동참의 範例(범례)를 이룩했던 바로 그 의거의 날이다.
그런 2'28 대구학생민주운동이 중앙정부에 의해 유달리 忽待(홀대)되고 있다고 한다. 서울 4'19 기념사업에 600억 원이 보조되고 마산 3'15 기념사업에 300억 원이 지원됐지만 그 운동들을 先導(선도)했던 대구 2'28 기념사업엔 지금까지 겨우 115억 원이 주어졌을 뿐인 게 증거라는 얘기이다. 7년 전 김대중 정부가 200억 원 지원을 약속했으나 나머지는 노무현 정권을 거치면서까지 꿩 구워 먹은 소식이라고 했다. 탓에 10년 전 계획한 2'28기념관조차 꿈을 못 꿔 그 정신을 기리고 繼承(계승)시킬 기반조차 마련치 못하고 있다고 했다.
물론 국가 지원 받기가 꼭 능사라는 얘기는 아니다. 의거의 본래 정신이 그랬듯 시민 스스로의 참여로 기금을 만들어 해낼 수 있다면 더 좋을 수도 있다. 하지만 2'28정신의 계승을 학생 1천 원, 어른 1만 원씩의 회원 회비로 다 해내기는 力不足(역부족)이라고 했다. 게다가 그것과 별도로 국가에도 그 나름으로 해야 할 몫이 분명 있는 법이다. 나라 위한 희생을 기리고 그것에 보답하는 일은 국가의 가장 기본 되는 임무이기 때문이다. 유관 운동들과의 형평성을 잘 맞춰 기념사업에 기울어짐이 없게 하는 것도 또 다른 책무라 해야 할 것이다. 진보논쟁 같은 2차적 事案(사안)에 매달리기 앞서 이런 일부터 잘 챙기는 게 정권에도 이로울 터이다. 운동 50주년 되는 3년 후에는 2'28기념관을 꼭 보고 싶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