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목소리도 상품이다)'샤우팅 마케팅' 뜬다

"매출 상승은 제 목소리에 달렸습니다."

신 마케팅 기법인 '샤우팅(shouting) 마케팅'이 뜨고 있다.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것은 시장 상인들의 "골라~골라~". 단순히 소리만 지르는 것처럼 보이지만 매출을 올리는 마케팅 기법이다. 하지만 무작정 소리만 내지르는 것이 능사가 아니다. 손님들의 귀와 마음을 사로잡는 목소리는 따로 있다.

대형마트인 이마트 만촌점 지하 1층 수산점에서 일하는 김건우(29) 씨는 샤우팅 마케팅의 달인으로 통한다. 매장 안을 쩌렁쩌렁 울리는 생 목소리와 속사포 같은 말재주로 입을 열었다 하면 매출이 올라간다.

김 씨의 목소리는 매장 안에서 단연 돋보인다. 대형마트 점원들은 고객을 모으는 것을 '멘트를 친다.'고 얘기한다. 양념치듯이 맛깔스런 목소리로 고객을 끌어모으는 것이다. 김 씨로부터 고객을 모으는 '목소리의 비법'을 들었다.

▶추상적인 용어는 피해야

김 씨는 "소리를 지를 때 추상적인 말은 피해야 된다."고 했다. 손님이 왔을 때 "저렴합니다. 쌉니다."라고 무작정 외치면 효과가 없다. 현실적인 멘트를 해야 한다. "1만 5천 원 하는 것을 1만 원에 판매한다."라고 말하는 등 저렴하다는 느낌을 고객들에게 확실하게 인식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철저한 사전 시장조사가 필수다. 경쟁 업체와 시중에서 팔리는 가격을 분석한 뒤 판매가격과 비교해야 한다.

▲요리법도 알려줘야

김 씨는 또 "고객들에게 동기를 부여해야 한다."고 말했다. 가격은 싸지만 먹는 방법을 모르면 허사다. 낙지를 판매할 경우 "온가족이 모여서 고추장 넣고 드시면 저녁 반찬 고민 끝입니다."라면서 고객들에게 요리방법도 가르쳐 줘야 한다.

▲신세대 용어는 피해야

피해야 될 용어도 있다. '드셔보삼' 등 신세대들의 유행어는 주부 등 나이 든 고객들에게는 거부감을 줄 수 있다. 반말하는 것처럼 들리기 때문에 역효과가 날 수도 있다.

▲항상 재미있게

박수는 기본이다. 발을 구르는 것은 시끄럽기 때문에 하지 않는다. 손을 나팔모양으로 하거나 상품을 손으로 가르킨다. 멘트는 길게 하면 안된다. 적당하게 5분 정도 하고 좀 쉬었다가 다시 한다. 계속 소리치면 고객들이 쉽게 싫증을 내기 때문이다.

▲누구나 할 수 있어

김 씨는 "목소리를 내지르면서 장사하는 사람들은 특별하지 않다."고 말했다. 누구라도 3, 4개월 정도 하면 자연스럽게 목소리가 커지고 자신감도 생긴다. "목소리로 고객을 사로잡아 많이 팔아도 인센티브는 없습니다. 하지만 고객들이 즐거워하고 매출이 오르는 것은 언제나 즐겁습니다. 앞으로도 고객들에게 즐거움을 주면서 쇼핑을 도와주는 쇼핑 도우미가 되고 싶습니다."

글·모현철기자 momo@msnet.co.kr

사진·이채근기자 mincho@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