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이 한권의 책] 칼에 지다/아사다 지로

1860년대 일본. 260여년 유지돼온 도쿠가와 막부가 흔들리고 있었다. 반 막부파의 메이지유신이 시작된 것이다. 천황이 사는 교토에는 막부를 붕괴시키려는 '불온한 세력'이 들락거렸다. 이들은 천황을 등에 업고 정권 탈취를 노렸다. 당시 일본의 천황은 (요즘과 마찬가지로) 아무런 힘도 없었다. 그러나 천황의 깃발은 대의명분이고 정의였다. 그래서 깃발을 차지하는 쪽은 정부군이 되고, 깃발을 잃은 쪽은 반군이 돼버린다. 막부를 붕괴시키려는 세력들이 교토를 공략했던 이유는 여기에 있었다.

당시 교토는 사쓰마와 초슈의 신진세력들이 쳐들어올 것이라는 소문이 나돌았다. 치안은 엉망이었고 밤새 막부파 상인들이 살해당하기 일쑤였다. 이 이야기는 당시 교토의 치안을 맡았던 '신센구미' 대원 요시무라 간이치로의 이야기다. 신센구미는 떠돌이 무사들을 긁어모아 급조한 조직으로 치안유지를 담당하는 무사집단 정도로 이해하면 된다. 말하자면 도쿠가와 막부가 정권과 치안 유지를 위해 비공식적으로 만든 조직이었고, 살인과 폭력을 자행하는 집단이었다.

신센구미와 멀리 아이즈에서 온 마쓰다이라 가문의 목숨 건 저항에도 교토는 신진세력들에게 무너졌다. 역사는 '승자 편'이기 마련이다. 천황의 깃발을 빼앗기는 순간, 정권유지를 위해 싸웠던 신센구미는 살인을 일삼는 악당으로 전락했고, 도쿠가와 가문을 지키기 위해 목숨을 바쳤던 아이즈의 무사들은 만고의 역적이 되고 말았다. 막부를 무너뜨린 새 정부는 신센구미 잔당을 색출해 처벌했고 아이즈 출신들을 유배시켰다.

신센구미 대원이었던 요시무라 간이치로. 그는 칼의 달인이었고, 학문에도 조예가 깊었다. 그는 원래 난부 번의 하급 사무라이였다. 가난했지만 열심히 공부했고, 열심히 검을 수련했다. 뛰어난 재능이 있었지만 그는 언제나 가난했다.

가뭄이 몇 해째 계속되고 처자식을 먹여 살릴 수 없자 요시무라는 탈번했다. 당시 탈번은 배신이었고 참수대상이었다. 남은 가족은 죄인처럼 지내야 했다. 탈번한 요시무라는 교토의 신센구미로 입대해 돈을 벌었다.

신센구미의 월급은 상당했다. '더러운 임무'를 수행할 때마다 수당도 주어졌다. 그들의 임무란 사람을 죽이는 일이었다. 요시무라 간이치로는 죽이고 싶지 않았지만 돈을 벌기 위해 죽였고, 죽임을 당하지 않기 위해 죽였다. 그렇게 번 돈을 한 푼도 쓰지 않고 처자식에게 보냈다. 덕분에 처자식과 처자식이 얹혀 지내던 처가는 오랜 흉년 속에서도 굶어죽지 않았다.

나중에 성인이 된 요시무라의 아들은 "역사를 보면 당시 매우 심각한 흉년이 계속됐는데 우리는 그다지 배고픔을 몰랐어요."라고 말한다.

칼의 달인이었지만 그의 칼은 싸구려였고 너저분했다. 그는 칼을 덜 닳게 하기 위해 사람을 베는 순간에도 칼날을 아껴가며 베었다. 옷은 여기저기 기워 입었고, 다 떨어진 신발을 신었다. 돈을 벌 수 있다면 어떤 짓도 서슴지 않았다. 월급을 받는 즉시 집으로 부쳤다. 처자식 앞으로 얼마간의 돈을 부치는 날이면 그는 뛸 듯이 기뻐했다. 언제 죽을지 모른다는 불안감 때문에 다른 신센구미 대원들은 술과 여자로 세월을 보냈지만 요시무라는 달랐다. 그는 돈을 벌기 위해 악귀처럼 굴었다.

"도대체 저 따위 인간이 사무라이란 말인가." 동료들은 그렇게 말했다. 체면과 명분을 중시하는 사무라이의 기준으로 이해할 수 없는 자였다.

요시무라 간이치로는 온화한 사람이었다. 정직한 사람이었고 의를 아는 사람이었다. 무엇보다 그는 처자식을 둔 가장의 책임을 아는 사람이었다. 그는 사무라이 정신은 충이 아니라 의라고 믿었다. 진정한 사무라이는 쇼군을 섬기는 자가 아니라 처자식을 먹여 살리는 자라고 믿었다. 그래서 그에게 탈번은 배신이 아니며 의였다.

작가 아사다 지로는 대중적이다. 그는 어렵게 말하지 않는다. 빙빙 돌려 말하지도 않는다. 그는 늘 사람살이에 끼여들기 마련인 고통과 눈물에 대해 말한다. 요시무라 간이치로의 손은 염치를 아는 손이었다. 그러나 그는 그 손으로 책을 읽고, 사람을 베고 돈을 벌었다. 또한 그 손으로 자식의 머리를 쓰다듬고 눈물을 훔쳤다. 그의 손은 불평 없이, 구별 없이 여러 가지 일을 해냈다. 모름지기 아버지 된 자의 손은 마른일과 젖은 일을 가리지 않는 법이다. 그는 허름한 옷에 낡은 칼, 맨발에 식은 국밥을 먹었고, 세상살이의 오만가지 사연과 마주서야 했지만 명랑한 표정을 지을 줄 알았다. 그것이 아버지 된 자, 남편 된 자의 도리임을 알았기 때문이다.

이 책은 오래된 영화 '시티 오브 조이'를 생각나게 한다. 초점이 외과의사인 패트릭 스웨지라는 미국 배우에 맞춰졌던 영화다. 그러나 이 영화에서 주목해야 할 사람은 패트릭 스웨지가 아니라 가난한 인도 아버지 '옴 퓨리'였다.

인도인 아버지는 폐병을 앓으며 인력거를 끌었다. 낯선 도시에서 그는 사기 당하고 폭력배에 두들겨 맞았다. 그의 고통과 노동은 처자식을 먹여 살리는 대가였다. 폐병을 앓는 그는 피를 토하며 인력거를 끌었고 딸의 결혼 지참금을 마련했다. 칼인지 총인지 기억나지 않지만, 폭력배들의 공격을 받아 상처 입은 몸으로 딸의 결혼식에 참석했다. 가족들은 아버지와 남편이 피를 흘리고 있음을 눈치 채지 못했다. 인도인 아버지는 꼿꼿한 자세로 결혼식장을 빠져 나온 후 패트릭 스웨지의 부축을 받았다. 이 영화를 보면서 처자식을 먹여 살리느라 만 가지 고생을 한 내 아버지를 생각했고, '칼에 지다'를 읽으면서 아버지가 돼 버린 나를 생각했다.

조두진기자 earful@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