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대 60주년기념관 신축사업을 둘러싸고 지역 건설업계와 영남대 간 공방이 뜨겁다.
대구·경북 건설업계는 영남대가 입찰자격을 지나치게 제한해 지역 업체의 참여를 원천적으로 막고 있다고 불만을 제기했고, 영남대는 참가자격을 엄격히 해 응찰업체 난립과 덤핑을 막아 부실공사를 근절하겠다는 입장을 내세우고 있다.
◆영남대
영남대는 지난 16일 입찰공고를 통해 60주년기념관 신축공사 입찰 참가 자격을 ▷2006년도 시공능력평가액 800억 원 이상 ▷회사채 A+ 또는 기업어음 A2(0) 이상 ▷10년 이내 문화 및 집회시설 단일공사 연면적 5천㎡ 이상 실적이 있는 법인사업자로 제한했다. 이 자격을 적용할 경우 대구·경북지역 건설업체는 대다수 참여할 수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주간사는 시공능력평가액 600억 원 이상으로 대구·경북에 사업장을 둔 사업자와 40%를 의무적으로 공동도급(컨소시엄)하도록 했다.
영남대 측은 이를 두고 낙찰자를 최저가 입찰자로 정하는 방식에서 참가자격을 엄격히 하지 않을 경우 응찰자들이 난립해 덤핑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 비록 입찰자격 제한으로 지역업체 대다수가 주간사로 참여하기는 어렵지만, 컨소시엄 40%를 의무화함으로써 지역업체를 완전히 배제한 것은 아니라고 강조했다.
우동기 영남대 총장은 "참가자격을 완화할 경우 전국적으로 온갖 기업들이 너도나도 응찰해 덤핑 수주로 인한 부실공사 우려가 있다."며 "주간사는 대형 업체가 맡되 지역업체가 컨소시엄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길을 열어 놓았다."고 말했다. 영남대 구매팀 관계자도 "60주년 기념사업인 만큼 우량기업이 주간사로 참여해야 완벽한 시공을 할 수 있다. 참가자격 제한을 통해 응찰자 난립도 막을 수 있다."고 했다.
◆건설업계
대한건설협회 대구시회와 경북도회는 "경기가 침체일로인 상황에서 지역 대학이 지역업체를 배려하지 않고, 오히려 응찰 자체를 막으려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며 "지역업체가 컨소시엄으로 참여할 수 있게 한 것도 지나치게 제한적"이라고 반발했다. 두 협회는 각각 지난 20일 입찰자격 완화 등을 촉구하는 건의문을 영남대에 전달했다.
지역업체 한 관계자도 "영남대를 비롯한 지역 대학들은 그동안 각종 건물 신·증축에서 통상 지역업체를 주간사로 해 공사를 해왔다."며 "영남대가 유독 60주년기념관 공사에서 지역업체를 배제하려는 의도를 알 수 없다."고 말했다.
실제 지난 7일 입찰을 본 대구대 재활과학대학관 증축공사는 참가자격을 대구·경북 업체 가운데 시공능력평가액 710억 원 이상, 단일공사 실적이 설계가(124억 원) 이상으로 했고, 지난달 21일 입찰을 본 영남대 생활관 신축공사도 대구·경북 업체 중 시공능력평가액 400억 원 이상, 단일공사 실적 100억 원 이상 등으로 했다. 또 계명대가 지난 2005년 1월 입찰한 음악공연예술대 및 대강당 신축공사도 대구·경북 업체 중 시공능력평가액 700억 원 이상으로 하는 등 대다수 지역대 공사에서 지역업체를 주간사로 정했다.
60주년기념관 공사는 설계가 420억 원, 연면적 1만6천500여㎡ 규모로, 지난 2월 입찰한 생활관 신축공사보다는 크고, 계명대 음악공연예술대 및 대강당 신축공사보다는 작다.
지역업체 관계자는 "영남대가 60주년기념관 건립을 위해 동창회는 물론 지역 각계의 광범위한 후원을 받아 상당액을 모아놓고 정작 공사는 외지 업체에 맡겨서야 되겠느냐?"고 비판했다.
김병구기자 kbg@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