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에서 전기사업을 하고 있는 김모(57) 씨. 그는 최근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과 1군 건설업체에 대한 기대를 접었다. 원자력 신월성 1, 2호기 공사에 일을 조금이라도 얻어 보려고 수없이 들락거렸지만 돌아온 것이라곤 냉소 자체였던 것. 김 씨는 "'시골업체들이 일을 제대로 할 수 있느냐'고 할 때는 서글픔과 함께 소름이 끼쳤다."고 털어놨다.
한수원은 경주에 대한 애정이 있을까?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이하 방폐장) 경주 유치 이후 한가닥 희망을 걸었던 경주시민들의 기대가 최근 한수원의 엇박자를 보면서 싸늘히 식어가고 있다.
특히 26일 한수원이 발주한 2천600여억 원 규모의 방폐장 공사에서 지역업체가 컨소시엄에서마저 완전히 배제된 것을 본 경주지역 건설·전기·설비 등의 업계는 폭발 직전이다.
우경식 일반건설협회 경주시지부장은 "월성원자력과 경주시를 찾아 수없이 길을 열어 달라고 요청했다. 그 답이 서울업체 우대, 지역업체 홀대인가?"라고 반문했다. 우 회장은 "한수원은 지역과 함께하려는 포스코나 울산 현대자동차 등의 기업문화를 먼저 배우고 경주로 와야 할 것"이라고 꼬집었다.
실제 한수원의 경주 무시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현재 기반공사가 한창인 4조 원이 넘는 신월성 1, 2호기 공사에서도 지역 업체 참여는 극소수다. 업계는 "덤프트럭의 경우 심지어 울산업체들에게 물량이 더 배정되는 현상마저 빚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경주시와 지역 정치권에 대한 책임론도 제기됐다. 시장이 나서 지역업체 참여를 요청하곤 했지만 경북도와 국회의원 등을 비롯한 전방위적 압박이 부족, 형식적 요구에만 그쳤다는 것이다. 한수원의 한 관계자는 "이 문제는 시장 등이 주무부처인 산업자원부 장관이나 한수원 사장을 얼마만큼 설득하고 매달리는가에 따라 달라질 사안"이라면서 "경주가 배제된 데 대해 경주 스스로도 자문해 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일반건설협회 경주시지부 100여 회원들은 29일 긴급 간담회를 갖고, 경주시와 한수원 본사 방문 등 대책을 논의키로 했다.
경주·최윤채기자 cychoi@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